우리나라 전자산업은 중국·미국·일본에 이어 세계 4위의 생산국이며 2005년 국내 단일산업으로는 처음으로 1000억달러 수출 위업을 달성해 국가 경제에 이바지함은 물론이고 세계 속에 디지털 강국으로의 입지를 구축했다. 그러나 최근 일본·중국 사이에 낀 샌드위치가 돼 기술과 가격경쟁력이 약화되고 있다. 특히, 휴대폰·반도체·디스플레이 3대 품목이 전자 수출의 70% 가까이 차지하는 열악한 구조는 대외무역 환경에서 취약한 면을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새로운 대통령을 맞이하면서 전자산업인은 재도약의 기회라는 기대감에 부풀어 있다. 전자산업의 목표는 2015년 수출 3000억달러 달성, 스타 컴퍼니 20개사 탄생이다. 새로운 목표, 새로운 도전에는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새 정부가 표방하는 철저한 실용주의 노선은 곧 기업의 비즈니스와 일치하는 것으로 전자산업계는 대환영하면서 몇 가지 건의한다.
우선, 융합산업 서비스에 대한 대폭적 규제완화다. 우리나라 산업은 스탠드 얼론 개념에서 벗어나 이제는 네트워크화 즉, 기기 간, 네트워크 간 융합을 통한 신수종산업의 시장 확충이 급선무다. 이에 따른 법 개정 및 각종 규제 완화조치는 무엇보다 시급하다. 또 하나는 정부 R&D, 인력, 환경 등 지원 정책이 산업발전 중심의 정책으로 추진돼야 하는 것이다. 정부의 정책 지원이 곧 기업의 경쟁력과 이익창출로 이어지고 국가의 부를 창출하는 요인으로 신속히 정착 및 확산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다음으로, 우리 기업이 글로벌 무한경쟁 시대에 대응해 나가기 위해 북한 개성공단 등 생산지역에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북한에서의 생산 활동이 정상화되면 지금보다 훨씬 나은 제품 경쟁력으로 글로벌 시장을 선점함으로써 전자산업이 향후 GNP 3만, 4만달러 시대의 주역이 될 것임이 분명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