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정부에서 추진하고자 하는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정책에는 규모의 경제와 범위의 경제라는 측면에서 그리고 기존의 자원을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는 비효율적인 측면에서 두 가지 문제가 있다.
첫째, 세종시와 연계해 대덕-오송-오창을 중심으로 한 바이오 및 관련 산업에만 집중함으로써 규모의 경제와 범위의 경제를 달성하기 어렵다.
둘째, 정부에서 제시하고 있는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는 세종시 인근에 국제과학비즈니스도시라는 이름으로 단지를 형성하는 데 치중하고 있어서, 기존 자원을 활용하는 방안이 미흡하다.
이 두 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새 정부에서 추진하고자 하는 광역경제권 개념을 접목시킬 필요가 있다.
충청 광역경제권의 핵심은 대덕의 연구개발 기능과 충남의 천안·아산지역에 분포한 IT산업 그리고 충북의 청주·청원·진천에 분포한 BT산업을 연계해 충청권 전체를 국가의 부를 창출하는 역동적인 지역으로 만드는 것이다.
이들 3개 지역을 합해 보면, 면적이 3800㎢고, 인구는 300만명 규모로서 실리콘밸리, 루트 128, 캠브리지테크노폴, 밀라노, 바덴뷔르템베르크 등 광역적인 클러스터로 성공한 지역과 유사한 규모다.
이 지역은 세종시로부터 반경 40㎞ 범위에 속하기 때문에 자동차로 30분 거리에 있어 빈번한 교류가 일어날 수 있는 환경이다. 경부고속도로와 중부고속도로 그리고 이를 연계하는 순환도로를 중심으로 대규모 벨트가 자연스럽게 형성될 것이다. 이러한 환경을 고려하여 세종시 접경지역에 R&D기능과 국제비즈니스 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국제과학도시를 조성하는 것이 최적의 정책이 될 것이다. 새 정부에서 추진하게 될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정책은 행정중심복합도시 공약 차원이 아니라, 미래의 국가 부를 창출하고 충청 광역권 경제 활성화를 다루는 차원에서 추진돼야 한다.
기고자/ 충남테크노파크 원장 김학민(ceo@ctp.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