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안전부가 전자정부 및 국가 정보화 주관부처로 거듭났다.
이명박정부 들어 행안부는 정부조직개편과 부처별 업무조정을 통해 옛 정보통신부의 정보화 관련 업무와 조직을 이관받아 확대 개편됨으로써 명실상부한 전자정부 주무부처로 조명받게 됐다. 특히 정보화전략실은 기존 전자정부본부와 옛 정통부 정보화 관련 업무를 확대·개편, 국가정보화 산실로 떠올랐다.
기존 전자정부본부는 1본부 1관 9팀 1센터였으나 새로 확대 개편된 정보화전략실은 1실 3관 13과로 몸집이 커졌다.
우선, 정보화전략실은 임우진 정보화전략실장과 조명우 정보화기획관, 장광수 정보보호정책관, 박성권 정보기반정책관 3명의 국장 체제로 출발하게 됐다.
정보화기획관은 정보화기획과, 정보화제도과, 정보화평가과, 행정정보화과, 서비스정보화과 5개를 거느리게 됐다. 또 정보보호정책관은 보안정책과, 개인정보보호과, 전자인증과, 정보문화과의 4개 정보보호 관련 과로 구성됐다. 정보기반정책관 산하에는 정보자원정책과, 정보표준화과, 유비쿼터스기반과, 정보화인력개발과 4개가 소속됐다.
특징적인 것은 옛 정통부에서 이관된 정보보호와 유비쿼터스 및 정보문화 관련 기능들이 정보보호정책관과 정보기반정책관 산하 과들에 고루 분배됐다는 것이다. 정책의 연속성을 꾀하기 위한 것이다.
정보화기획과는 국가사회 정보화와 전자정부 정책수립 및 조정을, 정보화제도과는 국가사회 정보화촉진 및 전자정부 법제도 개선 및 연구 등을 책임지게 됐다. 또 정보화평가과는 정보화투자 성과관리체계 연구 및 제도개선을, 행정정보화과는 행정·지역정보화 정책의 연구·기획·조정·총괄 및 기본계획 수립을 담당하게 됐다. 서비스정보화과는 서비스정보화 정책개발 및 시책사업 추진을 각각 맡는다.
보안정책과는 개인정보보호·민간정보보호·전자인증·정보문화·정보격차 해소 정책수립 및 조정 총괄 역할을 하게 됐다. 개인정보보호과는 국가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기본정책 수립과 총괄 조정을 맡는다. 전자인증과는 전자서명 관련 법령 제·개정을, 정보문화과는 정보통신기술의 사회적 파급효과 분석 및 대응에 관한 사항을 책임진다.
정보자원정책과는 행정정보자원관리를 위한 기본계획의 수립과 시행을, 정보표준과는 정보화 관련 표준화정책 수립과 시행을 맡는다. 유비쿼터스기반과는 정보통신 융합과 정보화촉진에 관한 정책의 수립 및 추진을, 정보화인력개발과는 정보화책임관 및 관리직공무원 정보화교육계획의 수립과 추진을 각각 책임진다.
한편, 정부통합전산센터는 옛 정통부에서 이관받은 것으로, 대전센터와 광주센터로 각각 운영되고 있으며 현재 12팀으로 구성됐다.
임우진 정보화전략실장은 “정보화전략실이 설치됨에 따라 국가정보화 전략을 일관되게 추진할 수 있는 기틀이 마련됐다”며 “국가 및 정보화 분야 전반을 재평가하고 새로운 전략과 비전을 갖고 나아가 국민의 신뢰와 지지를 받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정소영기자 syjung@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행정안전부 정보화전략실 구성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