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FID기반 전통산업 IT화, 산업계 전반 확대

 전자태그(RFID)를 기반으로 한 전통산업의 IT화에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2일 업계에 따르면 정부는 물류·자동차·섬유·철강·제지·조선 등 일부 업종에 한정했던 ‘산업 중심 RFID 확산사업’을 농축산·항공·의약·귀금속·주류 등의 업종으로 확대 적용할 계획이다.

 이같은 움직임은 정통부와의 부처 통합으로 RFID 주무부처가 지식경제부로 통합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지경부는 우선 산업자원부 시절부터 추진했던 지식경제부의 RFID 기반 정보화 확산사업에 지금까지 배제됐던 업종까지 포함시켜 전 업종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RFID 확산사업은 이에 따라 부처 통합에 따른 대표적 시너지사업으로 자리매김할 가능성이 높다.

 과거 산자부와 정통부는 각각 RFID 확산사업을 추진하다가 중복성 논란이 일자 2006년 조정을 거쳤으나 당시 산업군이 불분명하게 구분되면서 양쪽 모두 반쪽짜리사업으로 진행돼 왔다. 당시 산자부는 ‘IT혁신네트워크구축사업’이란 이름으로 RFID 확산사업을 시작했고 정통부는 ‘RFID-USN’사업을 추진했다.

 지경부는 현재 이원화됐던 두 부처의 RFID 기반 정보화 과제에 대한 효율적 운영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지경부는 우선 산업별 RFID 확산사업은 강화하는 쪽으로 방향을 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 일환으로 산업별 RFID 성공모델 발굴사업의 대상을 전 업종으로 확대키로 한 것이다.

 이에따라 RFID-USN사업으로 추진될 예정이던 17개 과제 가운데 산업적 성격이 큰 농축산·주류 등 일부 업종은 ‘IT혁신네트워크구축사업’으로 흡수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공공성이 큰 RFID-USN 과제는 원래 계획대로 진행될 전망이다.

 정부의 이같은 방침은 업종별·산업별로 파급 효과가 큰 성공모델을 발굴해 RFID를 매개로 한 전통산업의 정보화를 앞당기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일부 공공 인프라 성격이 강한 분야를 제외하고는 각 산업별로 기업이 매칭펀드 형태로 참여하도록 유도해 예산의 효율적 운영과 기업 참여도를 높인다는 포석이다.

 정부 관계자는 “이미 진행되는 과제는 예정대로 추진하면서 필요에 따라 일부 조정하는 형태로 사업을 조정해 나갈 것”이라며 “큰 방향은 기업 참여를 높이고 중복성을 최소화하면서 예산을 효율적으로 집행한다는 것이지만 아직 확정되지는 않았다”고 말했다.

 심규호기자@전자신문, khs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