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사태]그룹사 기조실, 삼성 여파로 사라지나

 ‘재계 기조실(기획조정실) 사라질까?’

삼성그룹이 경영쇄신의 일환으로 전략기획실을 해체하기로 결정함에 따라 그 파장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외환위기 이후 오너경영을 뒷받침하기 위한 기획조정실을 운영해온 재벌그룹들은 이의 폐해에 대한 비판에 직면하면서 LG그룹·SK그룹 등이 지주회사 체제로 개편했지만 여전히 상당수의 그룹은 계열사 통제기구를 유지하고 있다.

지주회사 체제 대표사례인 LG그룹은 한때 300명 규모의 기조실을 운영하기도 했으나 2003년 3월 지주회사로 완전히 탈바꿈했다. LG 측은 지주회사가 주주권 행사, 계열사와의 개별적인 계약 등 투명하고 적법한 수단을 채택할 수 있어 법규와 충돌할 소지가 없으며 이로 인해 계열 간의 시너지 효과와 경영효율을 높일 수 있다는 평가를 내리고 있다.

SK그룹 역시 경영기획실과 구조조정추진본부 그룹 총괄기구를 운영해오다 소버린 사태로 경영권 분쟁이 빚어진 2003년 6월 구조조정본부를 해체하고 대신 SK에 투자회사관리실을 두고 사업지주회사 역할을 수행하도록 했다. 작년 7월에는 지주회사 체제로 전환하면서 SK가 사업자회사에 대한 투자를 전담하며 사업자회사들은 독립경영 체제를 갖춰 사업 경영에만 집중할 수 있도록 했다. GS·두산·CJ그룹 등도 지주회사 체제로 전환했거나 전환을 준비 중이다.

반면에 현대·기아차, 롯데, 금호아시아나, 한진, 한화그룹 등 상당수 그룹은 다양한 형태의 그룹 총괄기구를 두고 있다. 현대기아차는 100명 규모의 기획조정실을 운영하고 있으며 롯데그룹은 롯데쇼핑 소속 정책본부가 사실상 그룹 총괄기구 역할을 하고 있다. 금호아시아나그룹은 전략경영본부 산하로 기획재무 등의 부서를 두고 있으며, 한진그룹 역시 회장 직속으로 구조조정실을 운영 중이다. 한화그룹은 2006년부터 구조조정본부를 경영기획실로 축소 개편했다. 이들 그룹은 총괄기구에 대해 ‘최소한의 계열사 간 조정업무’ 등의 업무만을 맡고 있다고 강조하지만, 상당수 그룹에서는 여전히 막강한 권한을 유지하고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전문가들은 일단 이번 삼성그룹 전략기획실 해체가 재계의 기조실 해체로 이어질 가능성은 크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이는 삼성은 비자금 조성이라는 특수한 경우로 해체가 결정된 것이고, 더욱이 대안인 지주회사 전환에는 막대한 비용이 들어 이들 그룹이 부담스러울 수밖에 없다는 설명이다.

이주선 한국경제연구원 기업연구본부장은 “정부가 (기조실 해체로) 움직여야 한다고 말하고 이에 국민이 동조하면 그룹사들도 영향이 있겠지만 만약 개별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면 영향은 없을 것”으로 내다봤다.

김준배기자 jo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