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해외시장 공략이 자원외교와 긴밀히 연계된다.
정부는 국내 시장만으로는 이미 포화상태에 진입한 IT가 해외시장 수요를 넓히기 위해서는 자원 확보 전략과 맞물려야 한다고 보고, 국정 최대 목표인 에너지·자원 확보가 IT 수출 확대라는 순기능을 불러올 수 있도록 실천에 옮긴다는 계획이다.
8일 정부 기관에 따르면 오는 11일 한승수 국무총리의 카자흐스탄 등 중앙아시아 자원 외교에서부터 범정부 차원의 IT 관련 해외시장 확대에 시동을 걸게 된다.
카자흐스탄에서는 가스·원유 광구 확보와 함께 SK C&C가 주도하는 우정 IT 관련 서비스 및 시스템이 현지에 진출하기로 사실상 확정됐다. 초기 우정시스템 교체 사업에 이어 카자흐스탄 정부 차원 우편·물류서비스 개선이라는 대형 프로젝트도 한국이 따낼 수 있는 절호의 기회가 만들어지는 셈이다.
정부가 자원·에너지 확보의 전략지로 꼽고 있는 중앙아시아·아프리카·중동·남미 등이 상대적으로 IT관련 정부 시스템 및 민간 수요가 아직도 많이 남아 있다는 점도 이 같은 국가전략 추진에 힘을 싣고 있다.
중국·일본이 이들 자원·에너지 부국에 거대한 자금과 국민 소비용에 집중된 투자 형태를 보였다면 이와는 달리 IT처럼 세계적 경쟁력을 가진 분야를 앞세워 접근해야 한다는 논리가 우리 정부 내에서 설득력을 얻고 있는 셈이다. IT 수출과 자원·에너지 확보라는 두 가지 목표를 동시에 안고 있는 지식경제부가 가장 적극적이다.
지식경제부 고위 관계자는 “아프리카·중동·남미 등 지역에 시멘트·비료 공장을 지어주는 중국과 같은 방식으로는 성과를 기대하기 힘들다”며 “통신분야에서 무선으로 바로 넘어가고 있는 이들 지역에 와이브로(WiBro),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DMB)과 같은 인프라를 깔아 주고, 자원을 확보하는 전략이 주효할 것”으로 내다봤다.
또 다른 핵심 간부도 “중국·일본과 같은 방식의 투자로는 실리를 얻거나 현지 정부로부터 권한을 얻어내기가 점점 더 어려워질 것”이라며 “소프트웨어·무선통신기기·IT인프라 등 중국이나 일본이 따라올 수 없는 것으로 승부를 걸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국무총리실도 한 총리의 중앙아시아 방문에 이어 향후 역점을 두고 추진할 자원·에너지 외교 행보가 IT수출 연계로 이어질 수 있도록 현지 요구에 맞는 공략 내용을 잡는 데 집중하고 있다.
이진호기자 jhol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