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정부사이트 보안 관리 `아직은`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501개 주요 전자정부사이트 보안등급 분류 결과

  전자정부 사이트들이 행정안전부가 정한 보안관리 항목의 절반 정도만을 적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보안관리 항목의 적용여부가 해당 홈페이지의 보안 수준을 나타내는 지표는 아니지만, 보안지표 적용 수준이 50%대라는 것은 보안관리 수준이 전반적으로 낮다는 반증이어서 개선이 요구된다.

행정안전부는 지난해 개발한 전자정부서비스 보안수준 조사지표(12개 부문 77개 항목, 이하 보안지표)를 기반으로 501개 사이트를 조사한 결과, 적용된 항목의 전체 평균이 55.4%에 불과했던 것으로 분석됐다.

이 수치는 501개 전자정부 사이트를 중요도에 따라 보안등급을 산출하고 그에 맞는 보안지표와 보안수준을 산출해 전체 평균을 낸 값이다. 따라서 평균적으로 전자정부 사이트에는 행안부가 요구하는 보안지표의 절반을 조금 넘는 수준만이 적용됐고 나머지는 적용되지 않았다는 얘기다.

보안지표 적용 수준이 이 정도라는 것은 조사대상 전자정부 서비스의 보안관리 수준이 전반적으로 낮다는 반증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이 때문에 해당 전자정부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들에게 보안관리 수준을 높이도록 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행안부가 정한 보안지표는 △필수(44개) △권고(23개) △선택(10개)으로 나눠져 있다. 그러나 보안지표 중 보안 전문인력 양성, 재해복구 및 비상계획 주기적 모의훈련, 정보자원의 부정사용에 대한 감시 등 주요 항목들이 선택 항목이어서 보안지표의 필수 항목에 대한 재검토도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번 조사는 지난해 행안부가 개발한 보안지표로 501개 주요 전자정부서비스를 분석한 것이다. △서비스의 국가사회적 중요도 △사이버 침해 발생시 피해 영향도 △수행 서비스의 온라인 의존도 등이 평가분야다.

한편 행안부는 지난해 개발한 보안지표에 따라 올해까지 두 차례에 걸쳐 501개 전자정부 서비스의 보안수준 실태를 조사했으나, 조사 결과를 해당 기관에만 알렸을 뿐 외부엔 공개하지 않았다.

이에대해 행안부 관계자는 “전자정부 서비스의 보안수준 실태조사 결과를 외부에 그대로 공개하면 보안이 취약한 사이트에 해킹 시도가 몰릴 우려가 크기 때문에 공개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보안업계 한 CEO는 “정보보안 수준을 숨기면 숨길 수록 지켜지기 어렵다”며 “보안수준에 대한 조사결과를 공표해야만 보안이 허술해질 여지를 줄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정소영기자 syju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