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011년으로 정부 지원이 끊기는 ‘나노종합팹센터’의 자생을 위해 수익을 올릴 수 있는 부문이나 기능은 민영화해야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또 정부 지원 중단 이후에는 산업·상용화의 대상에 따라 소속부처를 변경해야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지난 20일 오후 서울 르네상스호텔서 열린 ‘NNFC의 효율적 운영정책 자문회의’에 참석한 전문가들은 지금부터라도 발빠른 선대응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이병헌 광운대 경영학과 교수는 “‘공공성’과 ‘수익성’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면서도 “2011년까지 손놓고 있지말고 돈이 되는 일부 조직이나 기능은 지금이라도 바로 스핀오프(Spin off) 등의 방식을 통해 민간 기업화시키라”고 말했다.
정상기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산업기반평가팀장은 “나노기술의 산업화에 따라 NNFC를 필요로 하는 부처는 많다”며 “지식경제부를 비롯해 보건복지가족부, 환경부, 농림수산식품부 등으로 파트너 부처를 교체해 정부 지원을 계속 받는 것도 방법”이라고 말했다.
박영준 서울대 전기공학부 교수는 “양질의 서비스 제공만 담보 된다면 연간 100억원의 수입도 가능하다”며 “역량이 있는 2∼3개 기술을 선택해 집중 육성시켜 자동차IC나 LED 조명, 바이오칩 등 신성장 분야에서 수요를 잡으라”고 말했다.
허염 실리콘마이터스 사장은 “정부가 NNFC에 지분 투자를 하라”고 제안했다. 허 사장은 또 “전국에 산재된 나노 관련 6개 팹·센터의 통·폐합을 통해 시너지를 창출해야한다”고 말했다.
이밖에 김용태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연구위원은 “현단계서 NNFC에 자립을 요구하는 것은 이제 막 걸음마를 뗀 아이에게 달리라고 하는 것과 같다”며 “정책 당국자들은 숫자에만 천착하지 말고 나노연구계의 현실을 직시해야한다”고 강조했다. 이희철 NNFC 소장은 “장비만 있으면 아무도 센터를 찾지 않는다”며 “서비스를 위한 연구·개발(R&D)을 지속 추진, 지난해 68.2%였던 재정자립도를 올해 2013년까지 75.1%로 올리겠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 외부와 소통 활성화를 위한 홍보·마케팅 강화와 센터명 변경을 통한 대외 이미지 개선 등도 고려 중이라고 이 소장은 덧붙였다.
류경동기자@전자신문, ninan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