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제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선 에너지와 환경·물·지속가능성 등 이른바 ‘EEWS’ 관련 문제의 관리와 IT·BT·NT 등의 융합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22일 ‘제조업 경쟁력 제고를 위한 새로운 방향 모색과 혁신전략’을 주제로 서울 과학기술회관에서 열린 제48회 한림과학기술포럼에서 서남표 신성장동력기획단장(KAIST 총장)은 “한국은 반도체·자동차·조선·철강 등을 중심으로 짧은 시간에 산업화를 이뤘으나 미래에도 이러한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을지는 의문”이라며 “국내 제조업이 직면한 도전에 대처하기 위한 체계적인 신성장동력 기획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서 총장은 미래 제조업의 경쟁력을 좌우할 요소로 복잡한 시스템과 제품을 디자인할 수 있는 능력과 기초 과학기술 및 사회 전반의 발전, EEWS의 영향 등을 꼽았다. 이런 가운데 신성장 동력을 찾기 위해선 정책 결정에 앞서 명확한 목표를 정의하고 정책 목표가 중복되지 않도록 공리적·과학적으로 프로젝트를 설계해야 한다는 것.
그는 또 “산업체와 연구소·대학·정부의 체계적 역할 분담과 제조업 혁신을 위한 적절한 수준의 위험 감수가 필요하다”며 “한국 제조업의 경쟁력은 당분간 유지되겠지만 기업들이 강력한 브랜드 가치와 기술력을 갖지 않으면 생산 기지 이탈 압력은 계속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최문기 전자통신연구원장은 우리 경제의 버팀목인 전자정보 산업의 미래 경쟁력 확보를 위해 철강·조선·자동차 등 주력 기간산업과의 융합을 통합 시너지 제고가 필수적이라고 말했다.
정준양 포스코 사장과 허원준 한화석유화학 사장, 이종욱 대웅제약 사장 등 발표자들은 대표적 신성장 산업으로 꼽히지만 선도 기술 개발에 높은 위험성이 따르는 소재 산업이나 바이오 신약 개발 사업의 경우 정부의 지원과 상생 혁신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한세희기자 hah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