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의 지지율이 19%대로 급락했다. 대선 당시 48.3%에 달했던 지지율의 절반 이하다. 지지율이 급락한 데는 여러 요인이 있겠지만, 많은 전문가들은 참모진의 구성과 보좌 능력에 문제가 있다고 지적한다. 대부분 학자 출신들로 구성된 현 참모진의 정무 능력과 추진력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이를 아마추어와 프로에 빗대기도 한다. 실무능력을 겸비한 프로들로 새롭게 참모진을 구성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오는 것도 이 때문이다.
이 대통령이 과거 기업의 최고경영자(CEO)를 하던 때처럼 강력한 리더십으로 정책을 밀고 가는 것은 좋지만, 참모들의 목소리가 들리지 않는다. 원활한 국정 운영을 위해서는 각 분야 최고의 전문가들이 정책을 검증하고, 조율해야 한다.
여기에는 역사에서 배울 교훈도 있다. 과거 미국의 클린턴 전 대통령도 출범 초기 지지율이 급락하며 위기를 겪었다. 당시 클린턴은 아칸소 주지사 시절부터 함께 일했던 이른바 ‘아칸소 사단’이라 불리는 사람들로 참모를 구성했다. 그러나 취임 4개월 만에 정무 능력에 한계를 드러냈고, 클린턴 전 대통령의 지지율도 급락했다. 이에 클린턴은 인사정책을 바꿔 시스템과 정무를 잘 이해하고 있는 관료들을 중용했다. 당시 클린턴은 홍보업무를 전문가들에게 나눠주고, 자신의 친구가 맡고 있던 비서실장도 관료출신으로 교체했다. 미국에서는 이 내각을 ‘집권 2기’라고 부른다. 이후 클린턴 행정부는 안정을 찾아갔고, 결국 재선까지 성공하게 됐다. 클린턴뿐만 아니라 지미 카터의 ‘조지아 사단’이나 레이건의 ‘캘리포니아 사단’도 비슷한 길을 걸었다.
이는 이명박 정부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서울시장 시절 측근을 대거 기용한 것도, 초기 내각 후보들이 낙마한 것도 클린턴 정부의 그것과 비슷하다. 또 취임 초기 지지율이 급락한 것도, 참모들의 정무능력에 도마에 오르는 것도 유사하다. 인적쇄신의 필요성이 계속 제기되는 이유다.
그러나 한나라당에서도 제기되고 있는 인적쇄신론에 청와대가 부정적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문제가 발생해도 주어진 역할과 임무를 모두 마친 뒤에 책임을 묻는 이 대통령의 인사스타일도 이를 뒷받침한다.
그러나 더 이상 실무형 정책 브레인 중용을 미뤄서는 안 된다. ‘대통령과 서울시장은 다르고, 국가는 한 사람이 경영할 수 없는 것’이라는 전문가들의 충고를 되새겨야 할 때다.
권건호기자 wingh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