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이르면 하반기부터 각급 학교에 교육용 로봇을 활용한 현장 교육을 시범 실시한다.
또 로봇 경진대회와 자격증시험을 통해 교육용 로봇의 호환 표준을 확산시킬 계획이다.
지식경제부는 옛 산업자원부와 정보통신부에서 각기 맡아왔던 로봇 시장 검증사업과 보급 사업을 하나로 묶고 올해 24억원의 예산을 투입, 서비스 로봇 보급 확대 및 산업 활성화에 나선다고 3일 밝혔다.
우선 기술·생산·마케팅 전문가로 구성된 로봇기획팀을 운영, 우리 로봇기술로 실현 가능한 상품군 10개 내외를 기획해 분야별 로봇 잠재 수요를 적극 발굴한다는 계획이다. 이렇게 기획한 로봇 상품은 바로 생산으로 들어가는 것이 아니라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소방방재청 등 로봇수요 기관의 검토·수정 과정을 거쳐 사업성을 높인다. 기업들도 별도 기획팀을 구성해 로봇을 만들고, 직접 시장 수요조사까지 수행해야 하는 리스크에서 벗어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그동안 로봇업체별로 상이한 소프트웨어, 인터페이스를 적용해 교육 현장 활용이 쉽지 않았던 문제는 인터페이스 표준 정립을 통해 풀어나갈 계획이다. 교육용로봇기업협의회를 거쳐 인터페이스 표준을 만들고, 경진대회 및 로봇자격증시험을 통해 이 표준을 확산하고 교육용 로봇제품의 호환성을 높여나가는 방식이다. 이를 통해 수준별 공동 교재가 만들어지면, 이르면 올 하반기 교육과학기술부와 협의해 각 시범 학교에 교육용 로봇을 활용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나기로 했다.
지경부는 또 로봇 제품이나 아이디어를 가진 개인 또는 사업자가 대량 생산 이전에 시장성을 점검할 수 있도록 시장 점검 및 시범서비스 비용의 절반 규모로 최대 1억원까지 지원할 계획이다.
지경부 로봇팀 관계자는 “로봇이 미래 복지·고령화 사회의 정책적 대안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로봇 기능을 발굴하고 수요 부처에 홍보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진호·배일한기자 jhol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