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병원 전자건강기록 사업 예상밖 부작용

 보건복지가족부가 지난 2006년 말부터 의욕적으로 추진 중인 공공 병원의 전자건강기록(EHR) 확산 사업을 놓고 일부 공공 병원이 불만을 제기하고 있다.

 2일 업계 및 병원에 따르면 복지부가 의료기관의 혁신을 위해 병원용 EHR를 2010년께 개발한 이후 2011∼2015년 154곳의 공공 병원에 확산하는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으나 오히려 공공 병원의 정보화 속도를 늦추는 역작용을 초래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서울대병원·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등 EHR 시범 사업 병원으로 지정되지 않은 공공 병원들 중 일부가 전자의무기록(EMR)을 도입해 진료·경영 환경을 개선하고 싶어도 정부의 눈에 보이지 않는 간섭으로 정보화 시스템 도입 예산을 선뜻 신청하지 못하고 있다. 즉, 2011년 병원용 EHR가 개발되면 EMR 도입·처방전달시스템(OCS)교체 등의 병원 정보화 사업을 진행하라는 압력을 받고 있기 때문이다.

 서울에 있는 S병원은 최근 정보화 사업을 독자 추진했다가 예산 신청을 포기했다. 한 관계자는 “복지부가 2011년 이후 EHR를 지원해주는데 굳이 예산을 왜 신청하냐는 정부 예산 담당자의 눈총을 의식할 수밖에 없어 불가피하게 노후 시스템을 계속 사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일부 공공 병원은 EMR 구축 등 자체 정보화 사업 일정 지연에 따른 진료기록물의 전산화를 수작업으로 진행, 불필요한 비용을 지출하고 있다.

 김윤 EHR 핵심공통기술 연구개발사업단장(서울대 교수)은 “병원이 지금 당장 EMR 구축 등 정보화 사업을 진행해도 1년가량이 소요된다”며 “따라서 예산이 확보되지 않았다면 해당 병원은 정보화 사업 시점을 6개월 정도 조율하면 된다”면서 공공 병원의 이해를 구했다.

 곽연식 경북의대 교수는 “일부를 제외한 대다수 공공병원은 투자 여력이 없는 상황에서 정부의 EHR 사업 지원은 국민과 병원에 많은 이익을 가져다 준다”며 “정부가 EHR는 물론이고 데이터마이그레이션 등 병원 정보화 전반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안수민기자 smah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