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학협력단장으로서의 가장 큰 과제는 역시 기술료 수입을 늘리고, 궁극적으로 TLO(기술이전 전담조직)가 자립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겁니다.”
지난해 10월 취임한 박선원 카이스트 산학협력단장(60·생명화학공학과 교수)은 이제 대학이 연구개발에만 몰두할 것이 아니라 개발한 기술을 사업화하고, 수익을 내는 구조가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각 대학이 산학협력단을 만들었고 교육과학기술부와 지식경제부가 공동으로 커넥트코리아 사업을 통해 대학의 기술이전을 지원해 오고 있다.
정부 지원에 힘입어 대학의 기술이전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고 기술료 수입도 점차 늘고 있다. 카이스트 산학협력단의 경우 지난해 기술이전 실적은 14억5000만원 정도를 기록했다. 올해는 약 20억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R&D나 특허출원, 기술이전 건수는 세계 유수 대학과 비교해도 뒤지지 않는다. 카이스트의 지난해 기술 특허출원 건수는 838건에 이른다. 이 수치는 MIT(314), 존스홉킨스(300), 스탠퍼드(250), 코넬(220), 하버드(160) 대학보다도 훨씬 많은 수준이다. 하지만 기술이전이 성사된 것은 30건에 불과해 이들 유수 대학에 크게 못미친다. 기술 수입료 회수율은 1.1%로 컬럼비아(26.67%), MIT(13.24%), 아이오와(6.1%) 등에 비해 현저히 낮다. 박 단장은 바로 이 부분에 주목했다.
박 단장은 “MIT와 비교할 때 카이스트는 특허출원 건수는 267%, 등록 건수는 309%나 됩니다. 우수한 기술을 갖고도 사업화가 안돼 수입으로 연결하지 못한 겁니다. 이 부분을 산학협력단이 해낼 겁니다”라고 설명했다.
박 단장은 기술이전 및 사업화를 위한 노력을 기울이는 한편 새로운 수익원 창출에도 적극적이다. 바로 기술가치 평가 사업에 직접 나서는 것이다. “기술가치 평가를 의뢰하는 데 드는 비용이 건당 2000만∼3000만원입니다. 평가를 의뢰해서 나온 기술의 가치가 3050만원인 경우가 많죠. 이러면 헛고생만 한 겁니다.”
이 한마디에 산학협력단의 고민이 묻어난다. 박 단장은 이 때문에 기술가치 평가 사업에 관심을 기울였다. 과거 벤처기업 인증 심사를 했던 경험을 살려 이른 시간내에 진출한다는 계획이다. 학계에서도 카이스트 정도면 가능하다는 분위기다. 기술가치 평가 기관은 산업은행,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등 현재 10개 기관이 등록돼 있다. 최근 접수가 마감된 기술가치평가 기관 심사에도 3개 기관이 신청해 기술가치 평가 사업에 대한 관심은 점점 높아지는 추세다.
박 단장은 서울대 화학공학과 졸업 후 미국 호클라호마 주립대, 텍사스, 휴스턴 대학에서 화학공학 석박사와 MBA를 마치는 등 기술과 경영에 대한 지식과 경험을 쌓았다. 2000년 ㅋ카이스트 신기술창업지원단장을 맡으면서부터는 본격적인 기술이전과 창업 등에 관심을 기울였다.
부산=전경원기자 kwju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