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하반기 경제정책 운용방향을 물가안정으로 바꾼 가운데 10일 열리는 금융통화위원회가 물가안정을 위해 금리를 인상할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일부에서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5%를 넘어서 물가안정을 위해서는 금리를 인상해야 한다는 주장을 하고 있다. 그러나 내수가 위축되고 있는 상황에서 금리인상은 경제에 결정타를 가할 수 있다는 입장이 엇갈리면서 금통위가 금리결정에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 한국은행이 물가안정을 위해 조만간 정책금리를 인상할 것이라는 전망이 외국계 투자은행(IB)을 중심으로 제기됐다. 향후 우리나라의 금리전망에 대해 외국계 IB들은 ‘동결론’과 ‘인상론’으로 양분된 가운데 6월 중 5.5%를 기록한 높은 물가상승률을 감안할 때 인상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의견이 다수를 차지했다.
BNP파리바와 스탠다드차타드는 7월, 뱅크오브아메리카와 메릴린치는 8월을 각각 금리인상 시점으로 제시했다. 타 IB들은 하반기 중에 한국은행이 금리 인상을 단행할 것으로 전망했다.
반면 바클레이즈캐피털과 도이치방크, 골드만삭스, JP모건, 리먼브러더스 등은 연내 금리가 동결될 것이라는 의견을 유지했다.
강영숙 국제금융센터 연구원은 “4월에는 인하론, 5∼6월에는 동결론이 확실히 우세했는데 이 달에는 인상론과 동결론이 절반씩 엇갈리고 있다”며 “이같은 변화는 인플레이션 압력이 급격히 커진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고 말했다.
유럽 중앙은행(ECB)이 지난 3일 기준금리를 현행 4.0%에서 0.25%p 올린 4.25%로 인상한 것도 금리인상론에 힘을 더하고 있다. 유럽중앙은행이 금리를 올린 것은 일년만으로 국제 유가 고공행진과 식품 가격 급등으로 인한 인플레이션 우려를 해소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현재로서는 고유가 및 고환율 영향으로 물가급등과 내수위축이 현실화되고 있는 시점에서 정책당국이 쉽게 금리인상 카드를 내놓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됐다. 이성태 한국은행 총재가 지난 6월 기준 금리동결 이후 인플레이션 가능성보다 경제의 불확실성이 증대되었음을 강조하고 최근의 금리상승 기조가 경제흐름보다는 단기적 수급영향임을 언급한 것도 단기간 내 금리인상이 없을 것임을 시사하는 발언이라는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권상희기자 shkw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