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가 특허교육이 변하고 있다.
이는 최근 대학들이 지주회사 설립이나 각종 산학협력에 대학이 보유한 기술이 키워드로 자리잡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몇 년 전까지만 해도 특허에 별다른 관심이 없던 대학들이 교육 단계에서부터 특허 확보의 필요성을 느껴 실제 강의에서도 특허교육을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11일 한국발명진흥회에 따르면 대학가에 지식재산권 및 특허 관련 강의가 급격히 증가해 올해 개설 강좌는 지난 2006년에 비해 1.5배 늘었다. 특허교육을 본격 시작한 2006년 22개 대학 44개 강의에 불과했으나 올 하반기까지 45개 대학에 90여 개의 강좌가 확대 개설될 예정이다.
특허교육 확대와 함께 대학이 인식하는 특허 교육의 중요도도 높아지고 있다. 이런 분위기는 각 대학이 특허 수업을 공학교육인증과정 안에 포함해 필수 과목으로 채택하는 경우가 늘고 있는 것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지난 3월 인하대와 충남대는 공학교육인증과목으로 관련 강의를 개설했다. 특히, 충남대는 특허수업을 필수 이수교과로 채택해 3학년 재학생 이상은 반드시 들어야 졸업이 가능하도록 했다. 고려대도 내년 공학교육인증과정 안에 교양필수 과목으로 채택할 계획을 세우고 현재 내부 조율 중이다.
한국발명진흥회 측은 “현재 전국적으로 300여 개가 넘는 공학교육인증과정 안에 특허교육이 포함되게 되면 특허 및 지식재산권 강의는 더욱 확대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처럼 각 대학들이 앞다퉈 특허 수업에 나서는 이유는 ‘기술 권리=황금알을 낳는 거위’라는 인식이 점차 확산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올해 초부터 불기 시작한 대학기술지주회사 설립 붐으로 특허 등을 통한 기술권리 인식이 더욱 변하고 있다.
홍국선 서울대 재료공학부 교수는 “특허 및 기술이전 사업화 강의는 연구·개발에 직접 참여하는 공학도들이 수업을 통해 수요자가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고민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며 “연구의 집중도나 창의력을 더 높여주는 계기가 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학부에서 시작한 특허 바람은 대학원까지 옮겨 붙고 있다. 대학원은 고려대·서울대·연세대·카이스트 등 4곳에서만 특허교육을 해왔으나 올해부터는 포스텍(포항공대)·한양대 등에서 관련 강의를 개설, 총 6개 대학으로 늘었다. 수업 내용은 학부와는 달리 좀 더 구체적이다. 서울대는 특히 특허 및 지식재산권 일반을 다루는 수업 외에 실제 벤처 창업이나 기술이전 등에 필요한 기본 지식을 담은 ‘기술이전 사업화’ 수업을 지난해부터 개설해 가르치고 있다.
홍성일 한국발명진흥회 정보활용지원팀장은 “대기업이나 각 연구실 등에서 특허 분야 교육의 필요성을 점점 느끼고 특허관련 실무교육에 대해 문의해오는 빈도가 높다”고 말했다.
이성현기자 argos@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대학특허교육 지원학교 현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