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차를 두고 대중교통으로 출근하는 부모님들이 늘고 있습니다. 석유값이 하늘 높은 줄 모르고 오르고 있기 때문이지요. 일반적으로 석유값 상승은 제품의 생산비 상승으로 이어집니다. 물건값이 오르면 상대적으로 돈의 가치는 하락하게 됩니다. 이러한 경제현상을 인플레이션 즉 통화팽창이라고 합니다. 물가가 얼마 동안의 기간에 몇 % 이상 상승할 때를 인플레이션(inflation)이라고 하는지는 정해져 있지 않지만 물가가 전반적,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현상을 뜻합니다.
이와는 달리 화폐량이 급속히 감소함으로써 물가가 하락하는 경우를 디플레이션(deflation) 즉 통화긴축이라고 부릅니다. 일본은 90년대 이후 10년 동안 경기회복 없이 물가만 하락하는 상황이 이어졌는데요. 이를 두고 디플레이션의 일종으로 진단한 경제 전문가가 많았습니다. 앞에서 설명한 인플레이션 시 시장에 팽창한 화폐를 정책적으로 줄이는 일 또한 디플레이션이라고 표현합니다. 디플레이션 시 시장은 경기침체에 빠지게 됩니다.
Q.스태그플레이션이란?
A.최근 우리나라 경제는 지속적인 경기부진이 이어지는 가운데 물가가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따라서 스태그플레이션(stagflation)이 현실화되고 있는 것이 아니냐는 걱정이 나오고 있습니다. 스태그플레이션은 스태그네이션(stagnation:불경기)라는 뜻의 단어와 앞에서 설명한 인플레이션을 합친 단어입니다.
경기의 불황과 물가상승이 동시에 진행되는 거죠. 일반적으로 경기가 좋아지면 소비가 증가해 물가가 오르게 됩니다. 반대로 경기가 침체되는 디플레이션 시에는 사람들이 지출을 줄여 물가는 내려가게 됩니다. 이것이 일반적인 경제의 흐름이지만 스태그플레이션 시에는 경기호황이 물가상승으로 이어지고 경기침체는 물가하락이라는 일반적인 경제상황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Q.스태그플레이션이 왜 무섭죠?
A.사람들이 스태그플레이션을 우려하는 이유는 이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이 간단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일반적으로 정부는 침체된 경기를 해결하기 위해 시장에 통화를 공급합니다. 반대로 물가가 치솟는 과열된 경기에는 시장의 통화를 거둬들이는 정책을 씁니다. 그러나 스태그플레이션에 빠지게 되면 정부가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상황이 됩니다. 물가를 내리기 위해 돈을 거둬드리면 경기 침체의 골이 깊어지고 경기를 부양시키려 돈을 풀면 물가가 상승을 부채질하게 됩니다. 그래서 경제전문가들 중 일부는 스태그플레이션을 ‘난치병’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Q.스태그플레이션은 왜 발생하나요?
A.생산성이 급격히 저하되거나 생산 비용이 갑자기 오르면 스태그플레이션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같은 물건을 만들어내는 데 더 많은 비용이 필요하다면 물건값은 당연히 올라가겠죠. 석유 가격의 상승으로 경제 전체적으로 생산비용이 올라가는 요즘과 같은 상황에서 스태그플레이션의 가능성은 매우 높습니다. 앞에서도 말했듯이 석유는 다른 원료로 대체되기 어려운 필수적인 생산요소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가격이 올라가면 대부분 생산비용 증가로 이어지게 됩니다. 이미 세계적으로 1970년대 중반과 1980년 초에 석유가격의 급등으로 스태그플레이션을 경험한 바 있습니다. 주로 공산품을 생산했던 우리나라도 이 위기에서 벗어날 수 없었습니다. 이를 두고 제 1, 2차 오일쇼크라고 합니다. 유가가 급등했다고 해서 반드시 스태그플레이션으로 이어지는 것은 아닙니다. 과거에 발생했던 스태그플레이션 상황처럼 석유 가격 급등으로 인한 경기 위축을 상쇄하기 위해 상당기간 돈을 찍어내면 물가가 지속적으로 상승합니다. 돈이 많이 풀려 물가가 올라가고, 결국 물가상승은 임금인상으로 이어졌고, 임금인상으로 시중에 돈이 더 풀려 다시 물가가 상승하는 악순환을 불러일으키면서 스태그플레이션의 늪에 점점 빠져들었습니다.
Q.스태그플레이션에 빠지면 해결책은 없나요?
A.정부는 물가안정과 경기안정 사이의 균형을 잘 잡아 기민하게 대처해야 합니다. 스태그플레이션에서 빠져나올 수 없게 하는 또 다른 함정은 생산성 하락입니다. 생산성이 떨어지면 유가상승이라는 비용 인상 요인이 쉽게 흡수되지 못해 경제를 교란시킬 가능성이 큽니다. 다시 말해서 석유값이 오르더라도 생산성만 받쳐준다면 유가 인상분 이상으로 물가가 뛰지는 않을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그러나 생산성까지 떨어져 수요를 맞추지 못한다면 물가는 더 오르게 됩니다. 따라서 생산성을 꾸준히 유지하는 것도 스태그플레이션에서 벗어날 수 있는 대처 방안입니다. 1, 2차 오일쇼크 같은 실수를 다시 되풀이하지 않으려면 민간과 정부가 힘을 모아 에너지 절약에 힘쓰고 거품을 걷어내고 우리 경제의 기본 체력을 다져나가야 합니다. 난치병이란 고치기 어려운 병을 의미하지만 우리는 과거의 경험을 통해 위기를 지혜롭게 극복해야 합니다.
이동인기자 dilee@
◆`신문보내기 캠페인`참여 기관- KT파워텔
KT 그룹사인 KT파워텔(대표 김우식 www.m0130.com)은 국내 1위 디지털 주파수공용통신(TRS) 사업자다. 현재 하나의 단말기로 전국 무전통화 및 이동전화 서비스가 동시에 가능한 차세대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KT파워텔의 주요 사업은 TRS에 집중돼 있다. TRS의 대표 공중망 시스템인 ‘모토로라 iDEN 시스템’을 활용, 통화권을 단일·광역·전국 지역으로 구분해 최대 수천명과 동시에 통화할 수 있는 디지털 TRS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지난 2002년에는 본격적으로 이동전화 서비스와 무선데이터 서비스까지 추가로 제공, 종합 통신 서비스 사업자로 도약하고 있다. 이와 함께 단문메시지(SMS) 전송 서비스, 차량위치 추적서비스 등도 제공하고 있다. 특히 지난 2003년에는 무선인터넷 ‘천닷큐브’를 출시해 고객이 실생활 및 업무 현장에서 필요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조회 및 처리할 수 있도록 했다.
KT파워텔의 서비스는 기업 영업조직, 택시, 화물, 관공서, 물류 등의 다양한 업종에서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다. 병원 전용서비스인 ‘파워-메디컬존’, 택시업종에 특화된 ‘파워-나비’, 물류업종에 이용되는 ‘GPS-원’, 골프장 특화서비스인 ‘파워-골프’ 등 특화 상품을 통해 큰 호응을 얻고 있다.
또 지난 2006년에는 국내 최초로 블랙베리 서비스를 도입하는 등 혁신적인 서비스 도입에도 앞장서고 있다. 황지혜기자 gotit@
◆ 김우식 사장 인터뷰
“새로운 기업 및 물류 시장 확대를 통한 매출 향상을 최우선 과제로 삼아 지난해 달성한 흑자경영에 대한 기반을 확고히 하겠습니다. 여기에 멈추지 않고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는 데도 힘을 쏟겠습니다.”
김우식 KT파워텔 사장은 “KT파워텔의 미래 모습은 유무선통합 솔루션을 통해 고객의 다양한 통신 요구를 만족시키는 이동통신 기업”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KT파워텔은 지난해 창사 이래 처음으로 85억원의 영업이익과 26억원의 당기순이익을 달성, 흑자 전환을 해냈다. 이를 계기로 새로운 사업에도 진출하는 등 ‘제2의 도약’을 모색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사내에 태스크포스를 구성해 신규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비즈니스 모델을 구상 중이다. TRS와 연계한 사업을 이르면 2009년부터 착수해 미래사업에 대한 기반을 확실하게 구축한다는 전략이다.
김 사장은 “전사적 역량을 동원해 기업형 통합(communication solution) 전문회사로 자리 매김하고 장기적으로 TRS의 새로운 새로운 성장동력을 찾는 일에 집중할 것”이라며 “학교 신문보내기 운동 등을 통해 기업의 사회적 책임도 다할 방침”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