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 뛰니 금리인상론 `무게` 실린다

 소비자 물가가 6%대에 육박하면서 물가안정을 위한 금리인상론이 힘을 얻고 있다.

 지난 1일 통계청 발표에 따르면 7월 소비자 물가가 전년 동월 대비 5.9% 급등한 것으로 나타나면서 물가를 잠재우기 위해서는 금리인상 등 선제적인 대응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소비자 물가가 이처럼 높은 수준을 기록한 것은 1998년 11월(6.8%) 이후 9년 7개월 만으로 7일 열리는 금융통화위원회가 금리인상카드를 내놓을 가능성이 높아졌다.

 소비자 물가 상승이 이어지자 전문가들은 금리인상이 실물경기에는 악재를 미치겠지만 인플레이션 기대심리를 잠재우기 위해서는 근본 대책인 금리인상 카드가 나올 것으로 조심스레 점쳤다.

 전종우 SC제일은행 이코노미스트는 “물가상승 압력이 가속화되는 반면 실물경기가 둔화되는 악성 사이클이 발생하고 있다”며 “기대인플레이션 압력을 사전에 차단하기 위한 선제적 의미의 금리 인상만 한 차례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이규복 금융연구원 연구원도 “높은 물가 상승은 유가 등 공급적인 측면에서 촉발된 것이니 만큼 금리인상이 물가를 억제하는 효과는 그리 크지 않을 것으로 본다”라고 전제하고 “다만 넘치는 유동성과 물가인상 기대심리를 잠재우기 위해서는 한번쯤 금리인상이 이뤄질 가능성도 크다”고 전망했다.

 그러나 최근 물가오름세가 수요 측면이 아닌 공급 측면의 인플레이션인 만큼 금리인상은 적절치 않다는 반론도 만만치는 않다. 특히 유가가 하락하고 있는 상황에서 금리인상은 섣부른 대책이라는 지적도 있다.

 이성권 굿모닝신한증권 이코노미스트는 “금리 인상이 이뤼지면 최근 악화되고 있는 가계부채, 중소기업 연체율, 건설부분 프로젝트 파이낸싱 등이 치명타를 받게 될 것”이라며 “중장기적으로 유가의 안정과 환율의 하락이 기대되는 등 물가개선의 요인도 일부 감지되고 있는 만큼 신중해야 한다”고 말했다.

 결국 인플레 심리 차단을 위해 기준금리 인상이 필요하지만 만약 유가가 지속적으로 떨어지고 금리인상으로 내수경기 위축이 심화된다면 ‘뒷북정책’이라는 비난을 받을 가능성이 있어 한국은행의 부담은 더욱 커지게 됐다.

 권상희기자 shkw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