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이 지방간 발생을 억제하는 데 필요한 세포 신호전달 체계를 세계 최초로 규명, 비알코올성 지방간을 치료하는 물질을 개발했다.
경북대 의대 이인규 교수팀과 울산대 의대 이기업 교수팀, 계명대 의대 박근규 교수팀은 공동 연구를 통해 ‘알파-리포산’이라는 물질이 간에서 지방합성을 억제해 지방간을 치료하는 사실을 발견했다고 12일 밝혔다. 연구팀은 알파-리포산이 메트포민과 같은 기존 치료제와는 달리, 지방축적을 억제하는 효과 이외에 지방합성을 조절하는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하는 것을 밝혀냈다.
비알코올성 지방간은 비만·당뇨병 등 대사증후군 환자에게 흔히 나타나는 간 질환으로, 체내의 중성지방이 증가되고 특히 간세포 내 중성지방의 축적이 증가해 지방간염·간경화증으로 진행될 수 있다. 조기 치료 및 예방이 필요하지만, 현재까지는 식사와 운동 등의 기본적인 치료법외에는 뚜렷한 치료법이 없었다.
이인규 교수는 “비만 및 대사증후군의 조건에서 지방간 발생과 이를 억제하는 물질의 세포 신호전달 체계를 규명함으로써 지방간·지방간염·간경변증 등 대사성 간질환의 발병 원인을 밝히는데 기여할 것”이라며 “연구에 적용된 알파-리포산은 약물 독성 및 부작용이 없다고 규명된 것이어서 조속한 임상시험을 거쳐 실제 비알코올성 지방간 치료에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간질환 분야 권위지인 헤파톨로지(Hepatology) 인터넷판 8월호에 게재될 예정이다.
권건호기자 wingh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