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체들이 새로운 서비스나 휴대폰 공개 일정을 무리하게 맞추다가 소비자의 희생을 강요하는 일이 늘어나 눈살을 찌푸리게 하고 있다. 애플은 3G 아이폰과 함께 공개된 인터넷 기반 동기화 서비스 모바일미를 지난달 11일 공개했다. 이 서비스가 서비스를 시작한 지 며칠이 지나지 않아 모바일미 가입자들에게 이메일을 보내 많은 문제점이 발견됐다고 사과하며 30일 동안 무료 서비스 사용기간을 연장했다. 이 발표 이후에도 서비스 장애로 인해 서비스 주요기능인 이메일을 주고받을 수 없고 통화 목록과 달력에 일정이 사라지는 등 문제가 계속 발생했다.
스티브 잡스 애플 CEO는 지난 5일(현지시각) “3G 아이폰 출시에 맞추려 무리한 일정으로 인터넷 서비스 ‘모바일미(MobileMe)’를 시작한 것은 실수였다”고 인정하고 “모바일미 실수 사례를 통해 인터넷 서비스에 대해 더 배워야 한다는 교훈을 얻었다”고 말했다. 문제가 해결되지 않자 애플은 20일 다시 이 서비스의 무료 서비스를 두 달 더 연장한다고 밝혔다. 소비자들은 애플이 인터넷 서비스를 더 배울 동안 학습교재로 이용되는 일종의 볼모가 되고 있는 셈이다.
애플의 망신은 이것으로 끝나지 않았다. 같은 날 애플은 3G 아이폰의 오류를 일부 인정하고 펌웨어 업그레이드를 실시했다. 그러나 이 펌웨어가 어떤 버그를 수정하기 위해서인지 구체적인 내용은 언급하지 않았다. 더욱이 소비자들은 펌웨어 설치 이후에도 각종 버그를 하소연하고 있다. 무슨 기능을 향상하는 데 도움이 되는지도 모르는 펌웨어 업그레이드를 소비자에게 강요하고 있는 꼴이다.
애플의 애플답지(?) 못한 망신은 먼 나라 얘기만은 아니다. 국내 주요 휴대폰 업체도 제품 출시 일자에 맞추기 급급해 고가에 새 휴대폰을 구입한 소비자에게 불편을 끼치는 일이 허다하게 발생하고 있다. 업체들의 무리한 출시 일정 뒤에 남은 건 소비자들의 손해뿐이다.
이동인기자<국제부> dil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