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태그 공공 수요 1000만개 창출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연도별 정부 RFID 도입 계획

 정부가 1000만개에 이르는 전자태그(RFID) 수요를 창출하며, 업체들의 수익성 제고를 위해 분리 발주제도 적용을 검토한다.

 또 RFID 기술을 활용한 우편물류 자동화시스템이 세계 처음으로 상용 수준으로 개발돼 우편물류 서비스 속도와 품질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게 됐다.

 지식경제부는 조달청과 공동으로 오는 2010년까지 국가 보유물품에 870만개, 신규 조달물품에 240만개의 태그를 부착할 계획이라고 25일 밝혔다. 최근 국가 신성장동력 22개 과제 중 하나로 선정된 뒤 가장 큰 공공 수요가 한꺼번에 생겨났다.

 정부는 우선 올해 안에 총 40억원을 투입해 전체 52개 국가기관 중 도입이 완료된 기관 12곳과 지방조직이 많거나 한시적으로 운영되는 일부 기관을 제외한 29개 국가 기관의 중앙 조직 보유물품 200만점에 태그를 부착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다음달 올해 주관 사업자를 선정하기로 했다.

 내년에는 신규 도입 물품 RFID 적용 범위가 72개 품목으로 확대되고, 2010년에는 나라장터 쇼핑몰에서 거래되는 연간 약 9000억원 규모의 조달 물품 전반에 RFID를 적용할 계획이다.

 정부는 또 1만점 이상의 물품을 보유하고 있는 전 국가기관에 RFID 도입을 의무화하는 법 개정을 내년 상반기에 추진하기로 했다. 또 RFID/USN 업계의 절대 다수(82%)를 차지하는 중소 전문업체의 수익성 개선과 수주 기회 확대를 위해 태그 발행기·리더 등 하드웨어 분리발주제도를 시범 실시한 뒤 본격 시행한다.

 황수성 지경부 정보통신활용과장은 “RFID 적용이 성공적으로 완료되면 우리나라는 국가기관 보유 물품을 최첨단 RFID 기술로 개별 단위까지 관리하는 세계 최초의 국가가 될 것”이라며 “정부 수요 창출과 함께 우리 RFID산업의 성장에 결정적 전기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편,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이날 우편국 운송용기의 움직임을 RFID 기술로 실시간 관리할 수 있는 ‘운송용기 RFID 프로세스 기술’을 상용화했다고 발표했다. 이 시스템이 우편물류 현장에 널리 보급되면 운송용기와 우편물의 이동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고 기존 물류 프로세스의 속도를 5분의 1 정도로 대폭 줄일 수 있다. 박종흥 ETRI 우정기술연구센터장은 “우편 물류에 RFID 기술을 도입하려는 시도는 여러 나라에서 있지만 시범사업 범주를 못 벗어난 데 비해 우리나라는 세계 처음으로 실제 업무현장에 적용 가능한 실용화 단계에 이른 것에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

대전=박희범·이진호기자 hbpark@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