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그리드를 선점하라] (하) 우리의 과제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정부 그린에너지 전략 관련 전력 IT 및 스마트그리드 내용

 선진국과 세계 유수의 글로벌 기업의 잇단 진출로 스마트그리드 시장은 경쟁은 날로 치열해질 전망이다. 우리나라도 손을 놓고 있을 수는 없다. 전문가들은 향후 국내에서 스마트그리드를 구축하는 것은 물론이고 관련 해외 시장을 확보하기 위해 △한국형 사업 목표 정립 △표준화 작업 박차 △관련 제품의 공공기관 구매 보장 등이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우선은 목표부터=한국형 스마트그리드에 대한 목표 설정부터 명확히 해야 한다. 스마트그리드는 전력망(그리드) 전체의 혁신을 일컫는 포괄적인 개념이다. 때문에 국가마다 스마트그리드와 관련해 지향하는 바가 약간씩 다를 수밖에 없다. 여기에 영향을 주는 요소는 각국 산업 및 기술환경, 전력인프라 상황, 관련기업 수익모델 등이다. 일례로 미국이 최대 에너지소비국임을 감안해 ‘에너지 자립과 안전 법안(EISA)’에 스마트그리드 관련 내용을 명시함으로써 에너지안보와 공급 안전성에 우선 순위를 뒀다면, EU는 환경보전, 분산형전원의 활용 및 보급 확대와 EU 국가 간 전력거래 및 그리드 서비스에 초점을 맞췄다.

 한국형 스마트그리드의 경우 저탄소 녹색성장, 신재생에너지 확대 등을 고려하는 것은 물론이고 향후 관련 기업의 수출산업 육성까지 목표에 포함돼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정부도 최근 발표한 그린에너지사업 중 전력IT를 수출사업화 하기 위해 한국형 스마트그리드를 구축한다는 내용을 포함시켰다. 현재 한전에서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계획을 마련 중이다. 황우현 한국전력공사 기술기획처 부장은 “이르면 11월께에 구체적인 계획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기술개발, 실증 속도 내야=지난 2005년부터 투자된 전력IT사업단을 스마트그리드에 맞게 지속 수정 보완할 필요도 대두된다. 4년여 전에 기획한 전력IT 사업을 스마트그리드와 동기화해야 하기 때문이다. 일례로 전력IT사업단 사업 중 에너지관리시스템(EMS)와 관련된 과제는 스마트그리드에서 요구하는 실시간 플러그인 방식의 지능형 분산전원 처리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보다 과거 외산 EMS의 국산화에 비중이 맞춰져 있다고 지적된다. 권영한 전력IT사업단장도 “스마트그리드 구축을 위해 지금 이 시점에서 필요한 투자와 개발할 것이 있다”며 “수용가 자원 관리를 위한 각종 애플리케이션, 스마트배전 및 직류서비스, 하이브리드카 보급 확대를 대비해 그리드에서 자동차로 직접 전기를 전송할 수 있는 V2G 기술 등이 예”라고 설명했다.

 실증속도를 더욱 높여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오는 2012년까지 4200억원을 투자해 전력IT 및 스마트그리드 등과 관련된 통합 실증단지를 구축·운영하고 이후 단계적으로 한전 전력망에 관련 설비를 투입하겠다는 게 정부 계획이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안정성이 강조되고 레퍼런스가 초기시장 선점에 크게 작용하는 전력설비 특성상 5년 이후로 스마트그리드 구축 레퍼런스를 만드는 걸 늦춰서는 안된다고 본다.

 표준화사업도 마찬가지다. 스마트그리드는 전체 전력설비가 하나의 플랫폼으로 통합되는 것이니만큼 전력설비 시스템이 같은 언어를 사용하도록 만드는 표준화작업이 필수적이다. 전력IT와 관련된 표준화사업은 전기산업진흥회 내 전력IT표준화포럼이 오는 2011년까지 마칠 예정이다. 미 전력연구원(EPRI) 마크 맥그라나한 이사도 스마트그리드(인텔리그리드)를 추진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표준화’라고 말했다.

 ◇정부는 초기시장 창출 도와야=정부는 공공구매 등의 분야에서 일정 부분 스마트그리드 관련 제품 구매를 보장하는 등 초기에 시장에 진입할 수 있게 하는 제도적 장치를 만들어야 한다는 지적이다. 지능형 전력IT 설비들은 단순 제품보다 대체로 가격이 높아 초기시장 진입에 어려움을 겪기 때문이다. 또 현대중공업·효성중공업·LS산전 같은 대표 중전기기 기업의 경우 현재 전 세계서 발생하는 기존 전력설비 수요가 크기 때문에 일정 수익이 보장되지 않으면 추가적인 연구개발(R&D)이 필요한-수년 뒤 시장에서 요구될-제품에 대한 투자를 상대적으로 소홀히 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권영한 전력IT사업단장은 “실제로 스마트그리드를 구축하고 이런 제품을 개발·생산할 기업들에 수익이 난다는 걸 알려줘야 관련 개발 및 연구가 활발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홍준희 경원대 교수는 “전력IT사업으로 마련된 스마트그리드 관련 씨앗이 자랄 수 있도록 초기환경을 마련해 주는 게 정부의 역할”이라고 말했다.

최순욱기자 chois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