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증권 IT부문팀은 요즘 새 주소 때문에 골치가 아프다. 새주소 사업 시행이 공고된 후 새주소 입력만으로 우편번호를 찾으려는 고객이 늘어나고 있지만 에러가 나고 있기 때문이다. 기존 주소와 새 주소의 데이터가 달라 이미 구축해 놓은 ERP·CRM 등과 호환이 안된다. IT 부문 팀장은 “금융 기업의 특성상 고객 데이터가 자산이라 그들의 요구사항을 바로 해결해 줘야 하는데 우리는 아직도 모르는 게 너무 많다”고 고충을 토로했다.
지난 4월5일 도로명주소 체계의 법적 주소 전환이 본격 시행됐으나 민간 기업의 새주소 운용에 대한 명확한 정부 지침이 없어 혼란을 겪고 있다. 2011년까지 3년간 기존 주소와 새 주소의 혼용이 가능한 과도기에 민간 기업 시스템 운용에 대한 뚜렷한 가이드라인이 없기 때문이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물류 금융 등 주소 데이터를 다량 보유하고 있는 민간 기업들이 기존주소와 새주소 데이터를 ERP·CRM에 연동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업계는 기존 주소와 새 주소의 데이터 머지시 3번 중 2번은 에러가 나고 있다며 고충을 토로한다.
이 같이 에러 발생이 높은 이유는 행정안전부가 제공하는 구·신주소 매칭테이블의 경우 행·법정동 변환이 되지 않기 때문이다. 통상 건물 주소를 정제하고 지번을 수정하는 작업만 하면 될 것으로 알고 있지만, 그 전에 행정동인 지번주소를 법정동으로 변환해야 구 주소에 매핑이 가능하다.
지난 15일 우정사업본부가 홈페이지에 공고한 새주소 우편번호 DB 역시 세부 데이타가 방대해 기존 주소와 1대 1로 매칭되지 않고 1대 다수로 검색되어 민간 기업의 경우 어떻게 해야할지 혼란을 겪고 있다.
외국계 제약업체인 B 기업의 IT 부문 담당자 L씨는 “아파트의 경우만해도 ‘APT’, ‘@’, ‘아파트’ 등 다양한 형태로 쓰이고 있으며, 별칭까지 쓰이는 주소까지 합치면 경우의 수는 상상을 초월한다”며 “기존 주소를 정제하는데 상당한 시간이 걸려 미리 대비해야되는데 얼마전 행정안전부를 방문했을때도 민간 차원의 뚜렷한 가이드라인 답변을 얻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이 문제를 정부가 해결줄 것인지, 당장 대부분의 회사에서 이슈가 될 텐데 SI 업체를 이용해 아웃소싱을 주는 방법을 고안해야 하는 것인지 최소한의 가이드라인도 없다는 것도 업계의 어려움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당장 대부분 회사에서 이슈가 될텐데 주소변환에 대해 내년 기업 예산을 편성해야하는지, 아니면 이 주소변환으로 인한 사회적 비용을 정부가 지원해 줄 것인지 궁금하다”며 답답한 심정을 토로했다.
주소 솔루션을 제공하는 업체 한 관계자는 “GIS기반의 CRM 등의 솔루션을 공급하는 업체들을 중심으로 주소 정제 툴이 개발되어 있지만 기업들이 모르고 있는 상황”이라며 “정부 차원에서 주소 툴에 대한 콘퍼런스 등을 열어 의사소통의 장을 만들었으면 좋겠다”고 바람을 피력했다.
이에 행정안전부의 새주소사업 담당자는 “민간기업의 경우 아직까지 수요가 크게 없다고 판단, 지침을 마련해놓은 것은 없다”며 “현재는 요구하는 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구축사업을 지원하고 있다”고 밝혔다.
허정윤기자 jyhur@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