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남권 특화기술]지능형홈&로봇-마산밸리

[동남권 특화기술]지능형홈&로봇-마산밸리

 재단법인 마산밸리(www.gmvalley.org)는 지역 전략산업인 소프트웨어(SW), 로봇자동화, 전자정보통신 분야에서 성장가능성이 높은 기업을 집적시켜 지역의 스타기업으로 육성한다는 목적 아래 경상남도와 마산시, 경남지역 대학, 마산 상공회의소, 금융권 등 지역 유수 기관이 공동 출연해 2002년 설립한 공익재단이다.

입주 110개사를 대상으로 고가의 공용장비를 지원하고 회의실, 교육실, 정보검색실, 자료실 등 다양한 기반시설을 뒷받침하는 한편, 홍보지원과 우수 창업보육업체 발굴, 교육 및 세미나 지원사업을 펼치고 있다.

마산밸리 내 경남벤처성장센터와 GM정보산업진흥센터는 각각 지역 벤처기업과 IT기업을 전담 지원하고 있는 대표적 기관이다.

경남벤처성장센터는 도내 창업보육센터 졸업기업 중 우수기업을 따로 발굴·육성해 코스닥 진입 수준의 중견기업으로 키워내는 역할을 맡고 있다. 앞으로 차세대 신성장동력산업인 로봇자동화 분야로까지 지원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GM정보산업진흥센터는 지역 SW기업과 대학, 연구소 등을 유기적으로 결합해 마산을 중심으로 경남 IT산업 활성화를 책임지고 있다.

이 같은 노력 속에서 지난해 마산밸리 입주기업은 연간 1000억원 이상의 총매출을 올렸다. 고용 인원만도 1000명에 육박해 마산은 물론이고 경남지역 경제에 든든한 버팀목이 된 지 오래다.

최근에는 u매뉴팩처링을 핵심으로 지역 제조업에 유비쿼터스 기술을 융합하는 내용의 경남 IT산업 육성계획이 정부의 지역 특화 사업에 선정돼 지역의 새로운 신성장동력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마산밸리는 이번 특화사업을 경남도의 전략산업이자 정부 차원의 차세대 신성장동력 육성사업인 지능형홈 산업과 연계해 관련 기업 및 기술개발을 집중 지원하고, 앞으로 연계 대상을 전자정보와 로봇자동화 분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안승옥 마산밸리 원장은 “제조업과 R&BD 사업을 유비쿼터스 기술로 묶어내는 이번 지역특화사업을 확보하면서 다시 한번 도약의 기회를 갖게 됐다”며 “지역에서 개발한 기술과 제품을 지역 기관과 기업이 우선 사용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 나가는 등 SW기업 발굴과 최우선 지원을 통해 경남 IT산업을 선도하는 기관으로 도약하겠다”고 말했다.

◆대표사업- u매뉴팩처링 기반 수요 창출

  마산밸리는 ‘u매뉴팩처링 기반의 수요창출 특화사업’이 주력이다. 경남 주력산업에 IT를 접목해 생산성 향상을 꾀하자는 것. 마산밸리는 기계, 로봇, 해양생물 등 하드웨어 기반 제조업과 IT의 융합을 통해 생산성을 높이고, 나아가 신산업 발굴 및 육성을 목표로 지난 지난 9월 ‘u-매뉴팩처링 기반의 수요창출 특화사업’을 시작했다.

최근 경남지역의 전통 제조업은 매출액과 유형자산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전국 평균에 크게 못 미치는 경상이익률(경남 3.2%, 전국 평균 5.7%, 미국 10.6%, 일본 5.0%)을 보였다. 영업이익 또한 증가세가 둔화되면서 부채비율이 상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경남도와 마산밸리는 지난해부터 지역 제조업에 IT를 접목해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u매뉴팩처링 사업을 구상해왔고, 지난 6월 지식경제부 지역SW특화육성지원사업에 최우수 과제로 선정됐다.

사업 주관기관인 마산밸리는 과제 제품화를 통한 기업 성장동력 확보 및 매출증대를 목표로 ‘u매뉴팩처링 기반 R&BD 사업’에서 6개 과제, 정책 방향을 제시하고 신기술 적용과 마케팅 지원을 목표로 ‘u매뉴팩처링 수요창출 기반사업’ 3개 과제를 추진한다. 과제의 성공적인 수행을 위해 최근 성과관리운영위원회를 구성해 성과지표의 체계적인 관리활동에 나섰고, 다양한 산학연 전문가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해 제품개발의 기술적 지원, 네트워크 구축, 개발 후 마케팅 지원에 참여시켜 나가고 있다.

마산밸리는 이번 R&BD 사업으로 직접인력 고용 효과는 물론이고 평균 20% 이상의 참여기업 매출증대, 21건 이상의 지식재산권등록, 2건 이상의 GS인증, 6건 이상의 시제품 개발, 기업현장 적용 16건 이상 등의 성과를 올린다는 계획이다. 또 수요창출 기반사업을 통해서는 18건 이상의 제조업 기술도입 코칭지원, 150억원 이상의 수요창출, 1100건 이상의 개발구매상담 건수 등 시장확대를 위한 기반이 마련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