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산업단지 발전 비전을 새로 마련함에 따라 3년간 답보상태를 면치 못했던 서울디지털산업단지 구조고도화 계획의 추진도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산업단지공단이 마련한 ‘2012 산업단지 발전비전’ 4대 로드맵에 산업단지 구조고도화 추진이 포함됐기 때문이다.
산단공 서울지사는 지난 2005년 10월 서울디지털산업단지의 노후화된 시설을 교체하기 위한 종합적인 안을 담은 서울디지털산업단지 구조고도화 기본계획을 마련했다. 하지만 정부는 물론이고 산단공 본부로부터도 승인을 얻지 못했다. 인천 남동공단, 안산 시화공단, 창원 공단, 구미 공단 등 건설된 지 30년이 넘어 시설이 노후화한 공단이 즐비한데 서울디지털산업단지만 해결할 수 없다는 의견이었다. 특히 서울디지털산업단지 구조고도화 기본계획에 언급된 예산이 무려 7000억원에 달해 정부로선 선뜻 승인하기 어려웠을 것이란 게 관계자들의 분석이다. 이번 산단 구조고도화 추진으로 이러한 제약이 풀릴 길이 일단 열렸다.
다른 산업단지와 마찬가지로 서울디지털산업단지는 원래 전통적인 제조업에 맞춰 조성됐다. 최근 몇 년 새 이 지역이 확 바뀌었다. 제조보다는 아이디어와 기술력으로 무장한 정보통신, 지식산업과 같은 첨단 분야의 벤처기업이 늘어났다. 이른바 굴뚝 산업을 찾아볼래야 찾아보기 힘들게 됐다. 굴뚝산업에 맞춘 기존 시설과 연구개발(R&D) 및 첨단 비즈니스가 어울리기 힘들게 됐다. 벤처기업 밀집도가 높아지면서 토지 이용을 더 효율적으로 해야 하는 데 제약도 많았다.
미국의 실리콘밸리처럼 산학연 연계 요구도 늘어났다. 문화, 휴게, 주차, 녹지 공간에 대한 요구도 빗발쳤다. 이런 요구를 수용하려 해도 기존의 규정과 규제가 가로막았다. 산업단지 관련 법률은 개발과 관리 위주로 돼 있다. 재정비 사업을 하기엔 제약이 많을 수밖에 없다.
김재명 산단공 산단고도화팀 과장은 “80년대 이전에 조성된 산업단지 12∼13개가 고도화가 필요하다고 판단하지만 산업단지 구조고도화는 동시다발로 할 수 있는 사업이 아니다”며 “산업단지별로 추진할 구조고도화 사업을 발굴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디지털산업단지의 구조고도화 기본계획은 제조업 위주의 구로산업단지를 첨단지식 산업구조로 개편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3개 단지를 IT와 소프트웨어, 패션, 메카트로닉스와 같은 지식기반제조업 등으로 특성화해 유사업종을 집단화한다는 전략이다. 이른바 지식산업 블록 구축 전략이다. 이를 통해 입주 기업 간은 물론이고 산학연 네트워크를 구축, 말 그대로 한국을 대표하는 지식산업 클러스터를 만든다는 게 목표다.
산단공은 이를 위해 단지의 입지여건·교통체계·기반시설·녹지공간·기타시설 등을 종합분석해 최적의 물리적 단지환경을 구축하고, 단지별 특화산업 지원을 위한 혁신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주변지역 개발사업 및 정비사업과도 연계할 방침이다. 입주민과 지역주민 모두 쾌적한 환경을 만들어 동양의 실리콘밸리를 만들려 한다. 산단공은 노후한 서울디지털산업단지를 개선하는 방안을 찾기 위해 연구용역을 준 상태다. 용역 결과는 이르면 이달 안에 나올 예정이다.
정소영기자 syjung@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