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리자드 이어 EA 중국 현지업체와 공조--한국기업 경쟁력 약화 우려
[더게임스 김상두기자] EA는 그동안 한국 게임업체를 통해 온라인게임 사업을 진행해 왔다. 과거 캐주얼 게임포털을 제작했을 때도, 자사가 보유한 패키지게임의 온라인화를 추진함에 있어서도 그 중심은 한국에 있었다.
EA는 지난 2002년 이후 한국과 아시아를 겨냥한 게임포털을 제작 사업을 한국에서 진행했고 IP 사업 확대 역시 네오위즈게임즈와의 손잡고 진행해 왔다.한국을 아시아 시장의 온라인게임 시장 진출의 교두보로 여겨왔던 것이다.
이번 중국 넷드래곤과의 계약은 이러한 정책 기조에 변화가 생긴 것이 아니냐는전망이다. 한국에서 무게중심을 중국으로 이동했다는 것이다.
# 왜 변화를 꾀하나?
우선 한국과 중국의 온라인게임 개발 기술의 격차가 크게 줄었기 때문으로 분석되고 있다. 과거 한국의 온라인게임을 수입해 서비스해 온 중국 현지 업체들은 최근 우수인력 육성과 한국을 비롯한 해외유명 업체로 부터의 노하우를 전수받아 자체 개발에 나서며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여전히 중국과 한국의 게임개발에는 차이가 있지만 그 격차는 시간이 지날수록 줄어들고 있다"며 "패키지 게임의 온라인화는 기획력, 캐릭터 등 원천 기술을 요하는 것이 아니어서 중국에서도 제작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게다가 중국은 한국보다 개발 비용 또한 저렴해 비용대비 효과가 한국보다 높아 현지 업체와의 협렵은 보다 많은 잇점이 있다.한국에서 개발하고 이를 다시 중국업체에 이양하는 기존 방식은 절차가 복잡할 뿐 더러 비용과 관리에도 문제 발생의 소지가 높아 중국 현지 업체를 택했을 가능성이 높다.
또한 중국 현지 업체와의 협력은 중국 정부의 외산 게임에 대한 각종 규제를 원활히 해결할 수 있는 등의 잇점이 있다. 중국 정부는 온라인게임 시장이 확대되면 자국 산업 보호를 내세워 "판호" 등의 각종 규제장치를 마련해 놓고 있어 한국, 일본 등에서 개발, 수입된 온라인게임을 규제하고 있다.
이 외에도 시장 규모자체도 한국의 수십배에 달하고 있어 직접 공략할 경우 보다 높은 수익율을 높일 수 있는 것도 직접 진출의 원인으로 분석되고 있다.
# 해외 IP 제동걸리나?
최근 국내 유력 퍼블리셔들은 해외 온라인게임 판권 확보와 이름있는 패키지 게임 IP를 활용한 게임제작에 열을 올리고 있다. 비단 유력 게임업체 뿐 아니라 중견업체들도 시장에 뛰어들고 있다.
글로벌 기업들도 한국기업들의 움직임에 동조하고 나섰다. 하지만 이는 한국 시장을 겨냥한 것이 아니라 궁극적으로 중국, 미국, 일본 시장 등 범 아시아를 노린 것이다. 한국의 우수한 개발력을 이용해 온라인화 하고 이를 해외 시장에 되팔겠다는 방식이었던 것이다.
하지만 최근 블리자드, EA 등 유력 게임업체들이 중국 현지업체와의 거래가 성사됨으로써 여타 해외 기업들도 중국으로의 직접 진출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업계 한 전문가는 "중국은 비단 온라인게임 뿐 아니라 모든 산업군에서 세계 최고로 꼽히고 있는 황금어장으로 세계 유수 게임업체들도 다양한 방식으로 중국시장 진출을 노리고 있다"며 "특히 월드오브워크래프트가 중국 시장에서 큰 성공을 거둠에 따라 글로벌 기업들이 현지 업체와의 협렵을 통한 직접 진출이 늘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이같은 징조는 이미 나타나고 있다. 블리자드가 올해 차기작 `스타크래프트2"의 중국 진출을 위해 넷이즈와 조인트 벤처를 설립했다. `와우"의 판권이양 방식을 뛰어넘어 직접 진출의 의지를 표명한 셈이다.
여기에 최근 EA마저 중국업체와 협력체계를 구축했다. 결국 한국 온라인게임업체들의 해외 IP 구매에 누수가 생길 수 있다는 결론이다.
모 업체 관계자는 "중국 현지 업체와의 협력은 여러가지 면에서 득이 될 수 있다"며 "한국업체들이 그랬던 것처럼 글로벌 기업들이 중국 현지업체와의 공조체제 구축이 증가하고 있어 그동안 한국 업체들이 누렸던 개발우위가 더 이상 통하지 않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같은 움직임은 한국 업체들의 유명 IP확보에 제한을 의미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원천기술 개발을 통한 경쟁력 강화뿐이라고 덧붙였다.
sdkim@thegames.co.kr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