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 항만 구축 프로젝트 ‘u포트’가 관할 부처 혼선으로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다.
4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부산시는 지난 2005년부터 ‘부산 u시티 프로젝트’의 핵심 사업으로 부산항 u포트 구축을 추진해왔으나 당시 해수부를 비롯한 건교부, 산자부와 소관 분야 및 관리 영역을 놓고 협의 조정이 안 돼 현재까지 지지부진한 상태로 남아 있다. 또 인천항은 지난해 수출입 컨테이너에 RFID를 부착, 통관과 선적 등 물류 흐름을 개선하는 u포트 사업에 착수했지만 시범 사업에 그친 채 아직까지 확대 운영은 요원한 실정이다. 이와 함께 올해 들어 전남 광양, 포항 영일만 등 전국의 내로라하는 항만이 선사나 선주, 전체적인 화물 흐름 등을 고려하지 않은 채 앞다퉈 u포트를 구축하겠다고 나서면서 해운·항만물류 정보화 분야의 대표적 전시성 사업으로 변질되고 있다는 지적까지 나오고 있다.
◇시범 사업만 남발=u포트는 미국을 비롯한 주요 무역국과의 보조 속에서 항만의 실제 고객인 선사, 선주, 화주의 니즈를 파악해 추진돼야 한다. 특히 이러한 u기술개발 및 시장 적용을 선점해 나가려면 기술 표준화가 선결돼야 한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이에 대한 체계적인 노력이 미흡한 실정이다. 또 기술개발 이후 컨테이너에 RFID를 부착할 주체가 누가 될 것인지 등 기술 외적인 논란도 여전하다. 이러다 보니 세계 표준 및 기술 주도라는 명분에만 급급해 의욕만 앞선 시범 사업을 몇 년째 지속하면서 예산만 낭비한다는 지적이다.
◇유럽에선 자동화 및 무선망 대세=미국은 9·11 사태 직후 모든 컨테이너에 보안 RFID를 부착하지 않으면 입항을 불허하겠다는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지만 아직까지는 별다른 변화를 보이지 않고 있다. 반면에 유럽 등에선 RFID 분야 대신 항만 내 시설 자동화 및 무선 통신망 구축으로 효율화와 경쟁력을 확보하는 방안을 적극 모색하고 있다. 실제로 네덜란드 로테르담은 무인 트레일러 시스템(AGB) 도입으로 비용 절감과 안전성을 크게 높이고 있다. 싱가포르는 항만은 물론이고 도시 전체에 무선 통신망을 구축해 첨단 항구도시를 만들고 있다.
◇가능한 것부터 추진해야=해상뿐만 아니라 육상 교통과 관제, 화물 통관, 무선 통신 등 u포트는 다양한 분야에서 유기적인 결합이 가능할 때 성공할 수 있기에 우선 순위를 냉정하게 판단하고 하나씩 단계적으로 확산시켜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국내 한 물류IT 전문학자는 “지능형 컨테이너 도입을 글로벌 상황과 연계해 고려해야 한다면 우선은 무선 통신망 구축 등 IT 경쟁력을 살린 가능하고 확실한 것부터 항만 내에 도입하자”는 주장이다. 이와 함께 u포트 구축에 따른 산업 활성화가 궁극적인 목적이라는 점에서 현재까지 개발된 u포트 관련 기술과 제품을 국내 항만 및 기업에서 우선 사용할 수 있도록 정부와 공기관이 적극 나서야 한다는 주장에도 힘이 실리고 있다.
정상화 부산대 컴퓨터공학부 교수는 “u포트는 첨단 항만 구축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관련 기술 및 제품의 상용화로 첨단 항만물류산업 발전과 필수적으로 연계돼야 한다”며 “이러한 기술과 제품의 개발은 물론이고 상용화의 기준이 되는 항만 운영시스템부터 국내 기술과 제품으로 바꿔나가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부산=임동식기자 dslim@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