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스템-반도체 글로벌 경쟁 준비를"

"시스템-반도체 글로벌 경쟁 준비를"

“차이나 인프라에 대항하기 위해서는 플랫폼 구축이 필수다”

경종민 KAIST 전자전산학부 교수는 16일 서울 양재동 교육문화회관에서 열린 ‘제1회 시스템­반도체포럼 조찬세미나’ 연사로 나와 이같이 말했다. 그는 “대만, 중국, 홍콩, 싱가포르는 기술과 시장·자본·노동력으로 무장해 인프라를 구축했다”면서 “우리에게 시스템업체와 반도체산업, 스피드, 열정은 있지만 서로 윈윈할 수 있는 플랫폼은 없다”고 지적했다. 경 교수는 대만과 3M의 사례를 예로 들면서 플랫폼 유무가 얼마나 중요한지 역설했다.

대만은 ‘Si-Soft’프로젝트를 앞세워 2003년부터 4년간 3000억원의 정부자금을 동원, 미국 등에서 340명의 반도체설계 분야 교수를 충원했다. 연간 2000명 이상의 석사를 배출한다. 3M은 40가지 이상의 코어 기술을 기반으로 한 플랫폼을 이용, 포스트잇·스카치테이프 등 세계적인 제품들을 만들어냈다.

경종민 교수는 “이제는 단품보다는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한 제품을 판매해야한다”면서 “플랫폼, 제품시리즈, 브랜드를 생각하면서 글로벌 경쟁을 준비해야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경 교수는 산·연·학·관이 각자 맡아야 할 임무와 핵심전략도 소개했다. 정부는 플랫폼 구축의 핵심으로, 자금을 투입해 인프라를 조성하고 전문가 시스템을 구축·운영한 다음 다른주체들이 원활히 활동할 수 있는 조력자 역할을 맡는게 바람직하다고 설명했다. 국책연구소는 핵심기술 연구와 사업화할 수 있는 연구를 구분해 담당한다. 대학 학부는 자질교육을 맡고, 대학원은 심화연구를 수행해야한다고 주장했다. 기업은 기반기술을 확보하고 장기적 관점에서 전문가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줄 알아야한다고 말했다.

경종민 교수는 “플랫폼 설계에 시너지를 낼 수 있는 시스템·소프트웨어 회사, 반도체설계 기업, 연구소, 대학 등이 참여해야한다”면서 “하드웨어아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공유하며 규격이나 크기 등의 기능·성능을 검증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든 다음 정부가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이날 경종민 교수의 강연은 ‘시스템­반도체 상생을 위한 산·연·학·관의 핵심전략’라는 주제로 1시간동안 진행됐으며, 업계 전문가·관계자 60여명이 참석했다.

설성인기자 siseol@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