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회사들이 연말 결산을 앞두고 무리하게 연체율 관리에 나서면서 가뜩이나 힘든 중소기업들을 두 번 울리고 있다.
시중은행들이 연체율 관리를 강화하면서 가뜩이나 경영난을 겪고 있는 중소기업들이 심한 대출상환 압박에 시달리고 있는 것.
연체율은 금융회사의 자산 건전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기 때문에 연말 결산을 앞두고 연체율 관리, 채권 추심 등에 무리하게 열 올리고 있다. 이에 따라 일부 금융회사는 새벽에 채무자에게 전화해 빚 독촉을 하거나 인신공격성 발언을 하는 등 부작용이 속출하고 있다.
17일 금융권에 따르면 시중은행들이 연말 연체율을 낮추기 위해 전담반을 설치하고, 대출 상환 기일이 도래한 고객들을 집중 관리하고 있다.
국민은행은 지난달부터 여신관리부 내 ‘집중관리반’을 신설해 특별관리가 필요한 여신을 집중 관리하고 있다. 내년부터는 영업점 업적 평가 때 연체대출금 관리 실적에 대한 배점을 높일 예정이다. 우리은행도 연말까지 개인과 중소기업 대출에 대한 연체 감축 캠페인을 벌이고 있고, 하나은행은 이달 들어 14개 가계영업본부에 연체관리 전담반을 파견했다.
신용카드사 등 제2금융권도 자금조달 어려움 때문에 연체율 관리와 채권추심을 강화하면서 피해 고객들의 민원이 폭주하고 있다. 신용카드사들은 연체 일수가 5일이 경과하지 않았는데도 카드사용을 정지시키는 사례가 늘고 있다. 일부 저축은행과 캐피털은 과도한 채권추심으로 금융당국의 개선권고를 받기도 했다.
카드대금을 연체한 고객이 금감원에 접수하는 채권추심 상담 건수도 크게 늘었다. 올 들어 9월 말까지 신용카드 채권추심 관련 상담은 4517건으로 작년 동기 대비 56.2% 늘었다. 일부 캐피털(할부금융·리스)은 과도한 채권추심 행위 때문에 금감원의 개선권고를 받기도 했다.
금감원은 “제 2금융권 등이 건전성 관리를 위해 무리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며 “과도한 채권추심은 소비자에게 피해를 줄 수 있어 감시를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형수기자 goldlion2@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