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1000억 규모 기술지주회사 설립 백지화

 KAIST(총장 서남표)가 자본금 1000억원 규모의 기술지주회사 설립 계획을 백지화했다.

 13일 KAIST에 따르면 1년여 전 ‘기술 세일즈’를 표방하며 내세웠던 기술지주회사 ‘KAIST홀딩스’ 설립을 막대한 기술평가 비용 등의 문제에 부딪혀 사실상 포기했다.

 KAIST는 지난해 4월 당시 대학 연구 성과물의 사업화를 촉진하고 학교 재정을 확충할 목적으로 대학 내 지식재산 성과를 활용해 수익사업을 벌이는 기술지주회사를 연내 설립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이를 위해 200억원 규모의 대학 내 2개 빌딩 및 용지(6600㎡)와 800억원 상당의 보유 기술 200여건을 출자해 총 자본금 1000억원 규모로 기술지주회사를 출범시킬 계획이었다.

 하지만 KAIST는 지주회사 설립에 드는 막대한 기술평가 비용 때문에 이를 중도 포기한 것으로 최종 확인됐다.

 특허기술 평가 비용이 1건당 2000만∼3000만원이 들어 대학이 보유한 특허 1500여건 전반에 대한 기술평가를 실시하면 평가 비용만 수백억원, 출자 기술만 평가해도 200건에 40억∼60억원이 나와 이를 현실적으로 감당하기 어려웠다는 판단이다.

 여기에 지주회사 운영 인력의 인건비 부담도 지주회사 설립의 걸림돌로 작용했다는 지적이다.

 KAIST는 지식경제부의 ‘연구소기업’ 제도를 적극 활용하는 쪽으로 기술사업화 정책을 전환하기로 했다. 특별한 자금 투자 없이 기술이전 등으로 대학의 연구 성과물을 사업화할 수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KAIST는 지난해 말 음성 인식 및 음색 변환 기술 등 특허 2건을 출자, 첫 대학 내 연구소기업 ‘엠피위즈’를 출범시켰다.

 박선원 KAIST 산학협력단장은 “기술을 사업화한다는 측면에서 볼 때 기술지주회사보다 연구소기업이 현실적인 대안이라고 판단했다”며 “앞으로 연구소기업이 많이 만들어져 체계적으로 관리가 필요하다고 판단되지 않는 이상 현재로서는 기술지주회사를 설립할 계획이 없다”고 말했다.

 대전=신선미기자 smshin@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