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악은 벗어났지만 아직 안심할 단계는 아니다.”
지난해 하반기 미국발 금융위기로 국제 금융조달시장에서 달러 구하기가 힘들어지면서 국내 금융권은 외화차입에 큰 어려움을 겪었다. 결국 정부가 1000억달러 지급보증을 하고 300억달러 규모의 한미통화스와프를 체결하는 등 제 2의 외환위기 상황을 막기 위해 동분서주했다.
이같은 대책에 힙입어 연말부터 외화유동성 불안이 많이 해소됐지만 완전히 정상화되려면 시간이 더 필요할 것으로 전문가들은 진단했다. 정부도 세계 경제위기가 장기화될 것으로 예상하고 올해 외환시장 안정을 위해서 외화유동성 적기 공급을 확대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최종구 기획재정부 국제금융국장은 15일 “정부나 한국은행이 국내 은행들의 외화유동성 상황을 감안해 시장에서의 신용경색이 뚜렷하게 풀리기 전까지는 은행이 어려움을 겪지 않도록 지원할 것”이라며 “해외에서 외화조달 여건을 조성하는데 정부가 할 일이 있으면 하겠다”고 말했다.
문제는 국제금융시장 신용경색 뚜렷이 완화됐다고 보기 어렵다는 점이다. 최국장은 “수출입은행이 대규모 장기채를 발행하고 CDS프리미엄이 하락하는 등 일부 호전된 조짐이 보이지만 상황이 지속적으로 개선될지는 아직 두고봐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말했다.
외평채 발행과 관련해 최국장은 “60억달러 발행이 계획돼 있지만 그 시기는 1분기가 될지 그 이후가 될지 현재 확정하지 않았으며 금액도 은행 등 민간분야 차입이 순조로울 경우 60억 달러보다 줄어들 수 있다”고 밝혔다.
정부는 시장상황을 봐 가며 외화자금을 계속 공급할 것이지만 금융기관이 스스로 차환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유도하기로 했다.
권상희기자 shkwon@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