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색정보화에 1조3906억원 투입

 행정안전부는 오는 2월부터 공공기관에 도입되는 PC·모니터·프린터 등 전산장비에 에너지 절약형 표준규격 통과를 의무화하기로 했다. 현재 8% 수준인 온라인 민원 완결서비스를 2012년까지 90%까지 확대한다.

 행안부는 15일 이 같은 내용이 포함된 ‘녹색정보화 추진계획’을 발표하고 2012년까지 총 1조3906억원을 투입, 그린IT를 기반으로 국내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10% 감축하기로 했다.

 관련기사 6면

 행안부는 우선 절전모드를 생활화하는 등 PC·데이터를 비롯한 정보자원에 대한 친환경 라이프사이클 관리를 통해 정보자원의 그린화를 추진할 방침이다. 에너지 절약형 전산장비 표준규격도 마련, 2월에 확정 고시하고 공공기관 도입 물량부터 의무화하기로 했다.

 행안부는 △공공청사와 행정관리에서 IT 기반의 녹색정부 구현 △공용자전거를 포함한 친환경적 교통편의 제공 등 u-IT 기반의 저탄소 녹색도시를 건설 △에너지 절약 생활화 운동과 친환경정책 연구개발 및 과제 발굴 등을 추진하기로 했다.

 행안부는 4대 강 살리기 사업의 효율적인 지원과 하천·호수 생태환경 감시를 위해 실시간 환경 모니터링시스템을 구축하기로 했다.

 행안부는 각계 전문가로 구성한 ‘녹색정보화 추진협의체’를 운영하는 한편 올해 1621억원을 투입하고 내년에 4696억원으로 예산을 크게 늘리는 등 2012년까지 총 1조3906억원을 녹색정보화에 투입하기로 했다.

 장광수 행안부 정보기반정책관은 “지난해 IT 부문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국가 전체 배출량의 2.8%로 전 세계 평균 2.0%를 크게 상회한다”며 “녹색정보화 추진으로 2012년까지 7000만톤 이상의 탄소를 감축해 탄소배출권 거래 시 약 2조5000억원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장지영기자 jyajang@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