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수출 32.8% 감소…사상 최악

수출 시장에 빨간불이 켜졌다. 1월 수출이 월별 수출입 동향을 집계한 이래 최대 감소폭을 보이고 무역수지가 30억달러에 육박하는 적자를 내는 등 최악의 성적을 나타냈다.

2일 지식경제부가 발표한 ‘1월 수출입 동향’에 따르면 1월 수출은 작년 1월보다 32.8% 감소한 216억9000만달러를 기록했다.

1월의 수출 감소폭은 월별 수출입 통계가 남아 있는 1980년 이후 가장 큰 것으로, 세계 경기의 급격한 동반 침체로 인한 각국의 수입 수요 위축 및 이에 따른 국내 업체들의 감산과 휴무, 설 연휴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수입도 246억6000만달러로, 외환 위기 당시인 1998년 7월(-43.9%) 이후 가장 큰 32.1%의 감소율을 보였다. 이에 따라 100억달러 이상 흑자를 목표로 했던 무역수지는 새해 첫 달부터 29억7000만달러의 적자를 냈다.

주요 수출품목 가운데 선박만 20%의 증가율을 보였다. 자동차의 수출 감소율이 55%에 달했으며 반도체(-47%), 자동차 부품(-51%) 수출이 절반 수준으로 떨어졌다. 또, 석유화학 -40%, 석유제품 -36%, 철강 -19%, 무선통신기기 -20% 등도 크게 감소했다.

지역별(1∼20일 기준)로는 최대 수출 시장인 중국으로의 수출이 32.7% 줄어들었다. 미국(-21.5%), 유럽연합(-46.9%), 일본(-29.3%), 아세안(-31.7%), 중남미(-36.0%) 등으로 모두 큰 폭으로 떨어졌다. 반면, 중동 수출은 상대적으로 낙폭이 낮은 7.5%로 감소했으며 대양주 지역 수출은 39% 늘어났다.

수입은 원유와 석유제품이 단가 하락에 영향받아 각각 46%, 64%씩 가파르게 줄었으나 가스와 석탄은 겨울철 수요 증가와 도입단가 상승 탓에 수입액이 각각 51%, 62%씩이나 늘어나 대규모 무역적자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했다. 단, 원자재 전체 수입액은 22.5%나 줄었고 자본재와 소비재 역시 각각 23.6%, 21.6%의 높은 감소율을 기록했다.

지경부는 “우리나라 뿐 아니라 주요 수출경쟁국도 모두 큰 폭으로 수출이 줄어드는 등 글로벌 경기침체에 따라 교역 규모가 급감하는 추세”라며 “실물경기 침체가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구분없이 심화돼 당분간 수출 감소세는 지속될 전망”이라고 말했다.

서동규기자 dkseo@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