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기업의 메카 `G밸리`]불경기 속에서 아파트분양금 상환 충격

[IT기업의 메카 `G밸리`]불경기 속에서 아파트분양금 상환 충격

 세계 경기 침체 여파로 서울디지털산업단지(G밸리) 입주 기업 상당수가 서울특별시의 중소기업육성 지원자금을 제때 갚지 못해 거리 밖으로 내몰릴 위기에 처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특히 중소기업 고용 창출을 위한 정부중소기업육성지원자금이 되레 기업 구조조정을 촉발할 개연성이 높아지고 있다.

 4일 한국산업단지공단 등에 따르면 정보기술(IT)·게임 등 지식 서비스 업종의 중소 벤처 기업들이 2005년께 G밸리의 아파트형 공장에 잇따라 둥지를 틀면서 서울시 중소기업육성자금을 지원받았으나 불경기로 대출금 상환에 힘겨워하고 있다.

 서울시는 2005년께 ‘아파트형 공장 시설 자금 명목’으로 아파트형공장 분양가 최대 75% 및 8억원 이내에서 3년 거치·5년 균등분할상환(20회) 조건으로 우리은행·기업은행 등의 은행자금으로 중소기업육성자금을 지원한 바 있는 데 올해 융자 기업의 대출금 상환이 시작된다.

 특히 2005년께 G밸리에 입주한 기업 721곳 중 약 40% 이상이 3∼5월께 은행 빚을 쪼개서 갚기 시작해야 하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경기 침체와 환율 상승으로 매출이 뚝 떨어지고 원자재 수입 가격도 상승, 기업 개별 노력으로 헤쳐가기 힘든 상황이 전개된 가운데 대출금 상환일 마저 도래, G밸리기업들은 좌고우면(左顧右眄)의 처지에 놓여 몸을 잔뜩 움츠리고 있다.

 신명진 서울구로디지털단지 기업인연합회장은 “올해 경기 침체 체감도가 본격화된데다 아파트형 공장 분양 대출금도 상환할 처지에 놓임에 따라 상당수 입주 기업들이 커다란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며 “올해 기업당 1억∼2억원을 갚아야 한다”고 말했다. 특히 신 회장은 “경기불황이 전 세계에 걸친 사안인만큼 서울시가 1년간 대출금 상환 시점을 1년 뒤로 미루는 특단의 정책을 펼쳐, 중소기업 육성 자금 본래 취지를 살렸으면 한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산업단지공단은 입주기업 애로 사항 지원을 위해 실태 파악에 적극 나섰다. 산업단지공단 서울지역본부를 중심으로 서울디지털단지경영자협의회·서울구로디지털단지 기업인연합회 등 단체장들과 4일 긴급 회동을 갖고 대출금 상환 유예 등의 대책을 숙의키로 했다. 그렇지만 서울시·서울신용보증기금 측은 중소기업 육성 자금 상환 유예와 관련 ‘곤란하다’는 입장을 밝히고 있어 난항이 예상된다.

 서울지역본부 한 관계자는 “2005년 입주 기업 중 무작위로 150곳을 방문해 아파트형공장 분양 대출금 상환 능력 여부를 파악한 결과, ‘3분의 1 가량이 대출금을 못 갚는다’고 응답, 그 조사 결과에 매우 놀랐다”고 밝혀 입주 기업의 자금난이 심각한 수준에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그는 또, “IT 기반의 지식 서비스 기업들이 대출 상환 압박에 더 시달리고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대출금 상환 유예 불가 방침은 서울시 등이 사태의 심감성을 실감하지 않은 탓에 입장 차이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며 “정확하게 실태를 파악, 서울시 등의 중소기업 지원 정책에 반영토록 지속적으로 노력을 기울일것”이라고 덧붙였다.

 G밸리 입주한 중소 기업 관계자는 “중소 기업 입장에서 대출금 상환 도래로 매 분기 1500만∼3000만원의 현금을 갚는 게 경기 불황에서는 말처럼 쉽지 않다”며 “대출금을 갚지 못하면 결국 금융 기관이 담보로 잡은 아파트형 공장을 경매, 일터를 한순간에 잃게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안수민기자 smahn@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