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시장통합법(자통법)의 핵심으로 알려진 신 금융 상품 출시기 지연되고 있다. 자통법을 담당하는 관계기관과의 호흡 불일치로 발생한 일이다.
4일 금융계에서는 자통법 발효와 맞물려 신제품 출시가 예상됐으나 정작, 자통법 이전과 별로 달라진 게 없다는 볼멘소리가 나왔다. 상품 출시가 원활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굿모닝신한증권과 대우증권이 자통법을 겨냥해 새 상품을 내놓은 게 겨우 눈에 띌 뿐이다. 하지만 이마저도 자통법 이전에도 출시할 수 있는 상품이란 게 업계의 평가다. 이처럼 자통법 발효에도 금융 상품이 달라지지 않는 것에 대해 증시 관계자들은 증권사의 준비도 부족했지만 관계기관과 손발이 맞지 않아 부족한 점이 있다고 말했다.
자통법과 함께 개통이 예정됐던 차세대시스템이 연기된 것도 금융상품 출현에 장애요인으로 꼽히고 있다. 차세대 시스템은 금, 부동산, 탄소배출권 등을 포함한 파생상품과 실물자산 펀드 등 다양한 상품의 거래가 가능하도록 마련됐지만 일부 증권사의 차세대 시스템의 테스트에서 증권사와 거래소간 호환이 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했기 때문이다.
정창희 거래소 IT통합추진단 부장은 “내달 23일이면 차세대 시스템이 본격 가동된다”며 “이럴 경우 증권사가 추진하는 새로운 상품을 적기에 반영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은행협회가 막아서고 있는 소액결제 부문도 신 상품 출현을 막는 요인이다.
증권사들은 당초 종합자산관리계좌와 연계된 다양한 상품을 마련할 계획이었지만 은행과 증권사간 가입비 책정을 놓고 여전히 결론을 내지 못한 상태다.
최용구 금융투자협회 산업지원팀장은 이에 대해 “현재 난항을 겪고 있는 소액 결제 부문이 해결되도 IT인프라 구축을 위해선 최소 3∼6개월의 시간이 필요하다”며 “본격적으로 증권사들이 관련 상품을 쏟아내기 위해선 6개월 이상의 시간이 소요될 것”이다고 지적했다.
이경민기자 kmlee@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