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와 대구를 연구개발(R&D) 특구로 신규 지정해 대전∼광주∼대구를 연계하는 내륙 첨단과학벨트 구축이 재추진되고 있다.
9일 관련기관에 따르면 지식경제부는 국가균형발전을 위한 초광역개발권 사업과 관련해 광주뿐만 아니라 대구도 R&D 특구로 추가 지정해 대전∼광주∼대구를 아우르는 내륙 첨단과학벨트를 구축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대덕에 이어 광주와 대구를 R&D 특구로 추가 지정하기 위한 논의가 정부 차원에서 본격 이뤄지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이를 위해 지경부는 이달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하고 연구용역도 실시할 계획이다. 본지 1월 19일자 3면 참조.
지경부 관계자는 “R&D 특구를 추가 지정하는 방안이 국가균형발전 및 초광역개발 사업의 연장선상에서 이뤄지고 있다”면서 “조만간 광주와 대구를 R&D 특구로 지정하기 위한 TF와 타당성 검토를 위한 연구용역을 실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대구시는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과 ETRI 대경권연구센터가 들어설 대구시 달성군 논공 일대 대구테크노폴리스를 중심으로 R&D 특구 지정을 성사시킨다는 방침이다. 세부적인 계획은 지역 전문가들이 도출한다는 계획이다. R&D 특구에는 광역경제권 선도산업인 에너지와 로봇 등의 연구개발을 강화하고 성서산업단지 등 대구테크노폴리스 주변 산업단지 기업을 거쳐 사업화하는 방향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지난 2004년 광주시와 대구시는 국토개발연구원에 공동 의뢰한 연구용역 보고서를 토대로 대전·광주·대구의 내륙지방거점도시의 삼각테크노벨트 구축의 타당성을 주장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아 빛을 보지 못했다. 이번 대전·광주·대구의 3개 R&D 특구를 묶는 내륙첨단과학벨트 구축은 지난해 12월 중순, 국가균형발전위원회가 발표한 ‘미음(ㅁ)자형 초광역개발권’의 초광역개발권 추진방향과 궤를 같이해 성사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해당 지자체는 기대했다.
광주시 관계자는 “이달 초 업무보고차 광주·전남을 방문한 이명박 대통령에게 R&D 특구 지정 등 지역현안을 건의한 결과, 정부차원에서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있다”면서 “그동안 광주시 차원에서 수립해놓은 R&D 특구추진 계획 등을 정부에 전달하는 등 긴밀히 협조하고 있다”고 말했다.
대구=정재훈기자 jhoon@etnews.co.kr, 광주=김한식기자 hskim@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