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탄소배출 목표 정부와 협약

기업 탄소배출 목표 정부와 협약

 이르면 내년부터 기업과 정부가 탄소 감축목표를 협의해서 설정하는 ‘정부협약’에 의한 탄소배출량 저감 제도가 단계적으로 실시된다.

 여한구 지식경제부 기후변화정책팀장은 18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동아시아지역 탄소시장 활성화 국제심포지엄’에서 이 같은 내용의 정부 정책방향을 소개했다. 정부협약(NA: Negotiated Agreement)에 의한 탄소배출량 저감은 기업과 정부가 감축목표를 협의해서 설정한 후 목표를 초과달성한 기업이 배출권을 부여받아 이를 목표 미달 기업에 판매할 수 있게 하는 시스템이다.

 여 팀장은 “내년부터 정부협약 제도를 실시하기 위해 국내 탄소배출 기업들과 저감 목표를 설정하는 등 단계적인 작업에 착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우리나라는 교토의정서 상 의무감축국이 아니기 때문에 당장 강제적으로 탄소배출량을 줄일 필요는 없다. 그러나 친환경 정책에 대한 국제사회 요구가 갈수록 높아지고 있어, 먼저 자발적으로 탄소배출량을 줄인다는 전략이다.

 한편, 이날 심포지엄에서는 일본·중국 등 각국의 친환경 정책과 이를 통한 수익창출 모델들이 집중 소개됐다. 와타나베 하지메 일본 미쓰비시증권 위원장은 “일본은 교토의정서에 따른 의무감축 국가로 2012년까지 1990년 대비 6% 감축의무가 있다”며 “이 때문에 세계 2위의 탄소배출권 구입국가가 됐다”고 설명했다. 그는 “탄소배출량 저감 정책을 펴기가 쉽지 않았지만 덕분에 조기에 친환경 산업 강국으로 자리 잡을 수 있었다”고 덧붙였다.

 메이 데 웬 베이징환경거래소 부총경리는 “중국은 세계 최대 규모의 청정개발체제(CDM) 사업 국가로, 세계 탄소배출권의 약 53.8%를 제공하고 있다”며 “이 같은 노력들을 기반으로 미래 친환경 산업 강국으로 자리 잡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노종환 한국탄소금융(KCF) 사장은 “동아시아 지역은 탄소배출권 최대 수요국인 일본과 최대 공급국인 중국이 자리 잡고 있지만 제대로 된 배출권 거래시장이 없다”며 “하루빨리 세계적 수준의 배출권 거래 시장이 성립돼야 한다”고 힘주어 말했다.

안석현기자 ahngija@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