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은 23일 정부 출범 1주년 기념 세미나 ‘글로벌코리아 2009’에서 개방 경제체제에 기반을 둔 ‘글로벌 딜’을 주창했다. 금융위기가 글로벌 차원에서 왔기에 대책도 글로벌하게 세워야만 하며, 실물경제 위축과 대량 실업사태를 해결하기 위해 세계 각국의 모든 경제주체가 참여하는 재정 확대정책을 꾀해야 한다는 것이 핵심이다. 이 대통령은 오는 4월 런던에서 열릴 G20 정상회의에서 각국이 재정투자계획을 가지고 나와 실천적 합의를 하자고 시한을 정했다.
이 대통령의 이 같은 비전 제시는 4월에 열릴 G20 정상회의를 겨냥해 이뤄졌다. G20 정상회의는 각국의 경제회생 문제와 글로벌 금융위기 해법 극복을 위해 각국 정상이 모이는 자리다. 우리나라도 영국·인도와 함께 의장국 자격으로 참석한다. 의장국 자격을 십분 활용해 보호주의 무역으로 회귀하려는 선진국의 행보에 제동을 걸어보자는 것이 대통령의 속내다.
‘글로벌 딜’ 제의에는 복합적인 의미가 담겨 있다. 최근 각국의 경제정책이 자국 이익만을 살리는 보호무역주의로 흐를 가능성을 차단하겠다는, 신흥경제 강국의 이해기반을 대변해 한국 경제 위상에 맞는 목소리를 찾자는 것이다. 거기서 얻어지는 이득도 많다. 이미 이 대통령은 지난해 7월 G8 정상회의와 도야코 정상회의에서 금융·기후협약 분야에서의 신흥경제국가 대변인을 자처하며 광폭 행보를 보인 바 있다. 특히 ‘동아시아 기후 파트너십’ 추진 전략은 아시아와 공동보조를 맞추며, 이 지역에서 각국과 협력해 서로 윈윈하는 녹색성장 먹거리를 찾자는 세일즈 외교의 결정판이다.
이 대통령은 지난해 11월 워싱턴 정상회의에서 ‘스탠드 스틸(Stand still, 최소한의 현 상태 개방경제를 지키자)’을 주장했다. 그만큼 보호무역주의 조짐이 강화되고 있다고 청와대가 판단했기 때문이다. 수출중심 국가인 우리나라·일본·중국·인도·브릭스 주요국가와 보조를 맞춰 보호무역주의를 막자는 ‘글로벌 딜’이 성공을 거두기를 기대한다. 수출로 먹고사는 우리에게 ‘글로벌딜’은 ‘녹색뉴딜’만큼 중요한 과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