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미산단, 모바일특구로 지정해야"

 대구경북지역 경제의 심장에 해당하는 구미국가산업단지가 연구개발(R&D) 기능이 빠진 단순생산기지로 전락할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이에 대한 대안으로 모바일특구 지정이 불가피하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24일 대구경북지역 관련업계에 따르면 최근 구미산단 내 삼성과 LG 등 대기업 연구인력의 수도권 집중과 관련해 이를 극복하기 위해 구미권에 모바일산업특구를 지정해 지역 모바일산업의 경쟁력을 확보해야해야한다는 주장이 강하게 제기되고 있다.

 모바일산업특구는 구미권에 향후 5년간 7500억원을 투입, 모바일관련 R&D를 수행하고 모바일산업집적화단지 조성 및 모바일테스트베드를 구축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수도권 규제완화로 대기업의 차세대 생산시설과 R&D기능이 수도권으로 집중되고 있다는 것이 모바일산업특구 조성의 배경이다.

 사태가 절박해지면서 김관용 경북도지사와 남유진 구미시장은 지난 19일 정부의 신성장동력설명회 참석차 지역을 찾은 한승수 국무총리에 모바일산업특구 지정을 건의했다. 이에 앞서 지난 17일에도 청와대 관계자를 만나 모바일진흥법의 조속한 제정과 특구지정을 강력히 요청했다.

 구미산단 공동화 현상의 대안인 모바일산업특구에 대한 희망적인 소식도 최근 잇따라 들려왔다.

 모바일산업특구사업의 하나인 구미 모바일융합기술센터 건립이 지난해 말 정부의 예비타당성 조사대상사업에 선정됐다. 이르면 내년부터 본 사업에 착수한다. 구미 모바일융합기술센터는 부지 1969㎡, 연건평 7872㎡ 규모로, 1850억원(국고 1250억원·지방비 330억원·민자 270억원)을 투입하는 사업이다.

 대구도 이달 초 IT융합산업진흥원 설립사업이 올 상반기 예비타당성 조사 대상사업으로 선정됐다. 첨단 모바일융합산업을 위한 R&D 프로젝트인 이 사업에는 내년부터 오는 2014년까지 5년간 총 2200억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예산의 63%에 해당하는 1400억원이 R&D에 투자되기 때문에 가뜩이나 부족한 대구경북의 모바일분야 연구기능이 크게 활성화될 수 있는 계기가 될 전망이다.

 대기업과 정치권은 지역 민심 달래기에 나섰다. LG전자측은 오는 2010년까지 2200억원을 투입, 태양광사업을 위한 공장을 설립하고, 차세대 주력산업으로 LED 공장 설립을 추가로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정부도 일본 부품전용공단 입주기업에게 주는 인센티브를 강화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지역의 모바일기업들은 “대기업의 연구기능 및 생산설비 수도권 이전문제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예상된 수순이 아니겠냐”며 “모바일특구는 지역의 관련 중소기업들에게 R&D 역량을 키워 신사업으로 전환해주는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구미=정재훈기자 jhoon@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