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사청, 국방 지휘통제· 통신 정보화에 3000억 쏜다

 방위사업청이 올해 국방 지휘통제·통신 시스템 정보화사업에 3000억원의 예산을 투입한다. 방사청은 이로써 한국형 합동 화력 운용체계사업, 후방지역 지상전술 C4I사업 등 신규 프로젝트에 상당 예산을 할당, 네트워크 중심의 국방정보 환경을 구축하는 데 주력할 방침이다.

 25일 관련 업계와 관계기관에 따르면 방위사업청(청장 변무근)은 오는 2012년 전시작전권 전환과 네트워크 중심의 국방정보 환경 구축을 위해 올해 3000억원을 투입, 지휘 통제·통신 시스템 정보화사업을 본격 추진할 예정이다.

 지휘 통제·통신 시스템사업은 수년간 이어진 지속 프로젝트지만 방사청은 올해 3∼4건의 신규사업을 예정하고 있다.

 3000억원의 예산은 장비 업그레이드 등 계속사업과 함께 △연합 지휘통제 체계(AKJCCS) △한국형 합동 화력 운용체계 △후방지역 지상전술 C4I 체계사업 △지상전술 C4I 체계사업 △공군전술 C4I 체계 성능 계량사업과 같은 프로젝트에 투자된다.

 이 가운데 한국형 합동 화력 운용체계사업(일명 JFOS-K)과 후방지역 지상전술 C4I 체계사업은 올해 처음 시작하는 프로젝트다.

 JFOS-K사업은 북한의 장사정포와 미사일에 대응하는 합동 화력 시스템 구축을 목표로 하는 것으로 자주 작전 전술능력 확보가 관건이다. 이 사업과 관련해 방사청은 종심작전(원거리 작전) 수행 능력 확보에 무게 중심을 두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 후방지역 C4I사업은 전군 C4I 체계 구축에 시발점이 되는 프로젝트다. 이 사업이 완료되면 현재 전방부대 중심으로 구축돼 있는 C4I 체계는 후방지역 및 전 군으로 확대돼 네트워크 전장이 완벽하게 구현된다.

 C4I사업은 감시정찰 체계, 지휘통제 체계, 정밀타격 체계를 정교하게 맞물리게 하는 것이 주된 사업 방향이다. 방사청은 확정되지는 않았지만 전시작전권 전환과 관련한 후속 정보화 프로젝트도 단계별로 준비 중이다.

 방사청은 정부의 조기 발주 분위기에 맞춰 이들 사업을 포함한 5∼6개 정보화 프로젝트를 상반기에 발주한다는 방침이다. 프로젝트 공고 시기는 사안별로 다르지만 이달 사업 공고·발주가 시작된다. 또 예산 지출도 최대한 이른 시기에 시장에 투입해 올해 국방정보화 속도를 끌어올린다는 계획이다.

 방사청 관계자는 “올해부터 각 군 체계 간 상호 운용성 향상에 상당 금액이 투입될 전망”이라며 “특히 전시작전권 전환에 대비한 정보화는 정부의 로드맵에 맞춰 차근차근 이뤄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정훈기자 existen@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