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학기술부가 영어 사교육비 절감을 위해 연내 전국 1만1000개 초·중학교 24만1000개 학급에 IPTV를 보급하겠다고 공식 발표함에 따라, 지지부진한 IPTV산업 활성화의 전기가 마련될 것이라는 업계의 기대감이 높아졌다. 방송통신위원회도 시범사업으로 진행한 학내망 IPTV 구축사업이 본사업을 통해 전국으로 확산되면, IPTV 인지도 제고와 함께 확고한 서비스 모델을 기반으로 순항할 것으로 기대했다. 아직 추경예산이 확정되지 않았으나, 정부는 올해 총 450억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교과부 계획에는 IPTV를 이용한 ‘방과후 학교’ 프로그램 운영과 콘텐츠 개발 등이 포함돼 있어, 실효성 있는 IPTV 활성화 정책이 기대된다.
◇연내 전국 초·중학교 전체 보급 가능한가=당초 정부는 2011년까지 매년 150억원씩을 투입해 단계적으로 전국 초·중학교에 IPTV를 보급하겠다는 계획이었으나, 추경예산을 확보해 이를 올해 안에 마무리하기로 했다. 이 때문에 일각에선 무리하게 사업을 진행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도 제기됐다. 이에 대해 방통위 관계자는 “이미 망은 거의 모든 학교에 들어가 있으며, 이를 50Mbps로 끌어올리는 작업은 라우터 등 핵심장비 교체만으로 가능하다”며 “몇백억원이 투입되는 것을 가지고 장비 시장의 특수라고 하기는 어렵고, 서비스 사업자와 시장활성화 측면에서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업계는 이미 정부가 지난해 추진한 ‘IPTV 공공서비스 시범사업’을 경험한 터라 기본적인 정책사업의 틀은 갖춰진 상태다.
◇신규 IPTV용 콘텐츠 개발, IPTV활성화 씨앗=정부는 무상으로 사용 가능한 온라인 콘텐츠를 모아 라이브러리를 만들어 학생들이 원하는 시간에 공부할 수 있도록 제공할 방침이다. 정부는 당장 사용이 가능한 EBS, 사이버가정학습 등의 콘텐츠를 제공해 양방향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교사의 교과연구회 공모 지원 등으로 교사·학생이 참여할 수 있는 콘텐츠를 개발할 예정이다. 정부는 또 IPTV의 장점을 활용한 시범 콘텐츠도 개발할 계획이다. IPTV용 교육콘텐츠가 기존 교육콘텐츠와 다른 것은 실시간 양방향 교육이 구현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는 강사의 강의를 보면서 의문점 등을 리모컨이나 IPTV용 키보드로 보내는 형태로, 마치 채팅하듯이 방송화면 밑에 텍스트가 떠 질문과 대답을 번갈아 할 수 있다. 하지만 콘텐츠 자체가 부족한 상태여서 이러한 서비스 구현엔 다소 시일이 더 걸릴 전망이다.
◇기대효과=정부는 IPTV 초·중학교 보급사업이 공교육 강화를 통한 사교육비 절감과 IPTV산업(콘텐츠·서비스·네트워크·단말·기기산업) 전반의 선순환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보고 있다. IPTV업계 관계자도 “지난해까지 시범사업이어서 매출에 도움이 안 됐으나, 본사업에서는 수주하는 학급에서 월 사용료를 받을 수 있으며, 학생과 교사 등 잠재고객도 확보할 수 있어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했다. 특히 정부는 교육 분야뿐 아니라 문화·지자체 홍보 등 공공분야로 사업을 확대할 계획이어서, 공공부문을 중심으로 IPTV시장이 빠르게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황지혜·허정윤기자 gotit@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