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부-지경부, 나노팹·특화센터 상호 연계 추진

 부처별로 독자 운영해온 나노 관련 대형 인프라 시설의 서비스를 상호 연계, 활성화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7일 교육과학기술부와 지식경제부에 따르면 2개 부처가 운영 중인 국내 6대 나노팹 시설에 대한 정부 지원이 대부분 올해 말 종료됨에 따라 나노 인프라의 자립운영 방안 및 인프라별 활용도 제고를 위한 정책 연구를 공동 추진한다.

 양 기관은 이달 중순 실무자와 나노팹, 집적센터, 나노기술협의회 등 관계자들이 참여하는 태스크포스(TF)를 발족하고, 부처 및 기관 간 이해관계 조율에 나서기로 했다.

 국내 나노 기술 관련 대형 인프라는 정부의 ‘나노기술 종합 발전 계획’이 수립된 2001년 이후 지속적으로 확충돼 전국적으로 6개 지역에 총 1조원 가까이 투입된 나노 인프라 기관이 설립돼 운영 중이다. 부처별로는 교육과학기술부가 대전과 수원에 각각 나노종합팹센터와 나노소자특화팹센터 등 2개 기관, 지경부는 포항·전주·광주 등 3개 지역에 나노기술집적센터를 가동 중이다. 옛 정보통신부에서 설립한 RFID·USN센터(송도)도 지경부가 이관받아 운영하고 있다.

 이들 인프라 기관은 당시 지역균형발전 차원에서 지역적으로 안배돼 역할을 분담해 왔으나, 산업적 수요가 높은 반도체·디스플레이 분야에 중점적으로 장비를 구축, 서비스하고 있다는 지적을 꾸준히 받아 왔다. 일부는 기관 간 역할이 중복돼 상호 경쟁도 불가피했다.

 교과부와 지경부는 이번 정책 연구를 통해 국내 나노기술 관련 기관별 장비 인프라 및 활용 실태 조사와 함께 6대 나노 인프라 기관의 성과 및 문제점을 구체적으로 조사·분석할 방침이다. 해외 유사 기관의 운영 사례를 분석해 벤치마킹하는 한편 궁극적으로는 나노 인프라 기관의 활용도를 높이고 연계·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계획이다.

 일각에는 6대 나노 인프라 기관 간 협의체를 구성해 역할을 분담할 수 있는 방안과 장기적으로는 장비 및 시설의 불용 기간이 종료되는 시점에서 제대로 사용되지 않거나 중복되는 시설의 매각이나 이전 등 내용이 담길 것으로 보고 있다.

 정재욱 교과부 사무관은 “나노 인프라시설의 구조조정이 아니라 상호 연계 및 활성화에 초점을 맞춘 정책연구”라며 “연구 결과가 나오는 대로 올 연말까지 종합적인 나노 인프라 활용 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두세웠다.

  대전=신선미기자 smshin@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