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바로 국산화가 가능한 방송장비 전략 품목 선정에 착수했다.
방송통신위원회와 지식경제부는 9일 서울 용산 정보통신연구진흥원(IITA)에서 ‘방송장비 고도화추진단 1차 실무회의’를 열고 향후 1, 2년 사이에 국산화가 가능하고 수출 전략모델이 될 수 있는 방송장비 품목 선정작업을 시작했다.
이날 회의에는 방통위·지경부 등 정부 이 외에 주요 수요처가 되는 지상파방송사 관계자, 유관기관인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KEA)와 전파진흥원, 학계 대표 등이 참석해 열띤 토의를 거쳤다. 좌장은 올해 초 지경부가 선정한 디지털TV·방송분야 PD(Program Director)인 김대진 전남대 교수가 맡았다.
회의에서는 각 업계가 추천한 140여개의 방송장비 품목 가운데 우리나라가 잘할 수 있고 시장성이 큰 품목을 선정하는 데 집중했다. 정부는 궁극적으로 15개 안팎의 품목을 선정해 연구개발(R&D) 자금을 집중 투입할 계획이다. 특히 수요자인 방송사 의견을 적극 수렴, 개발된 방송장비가 실제 현장에서 구매·활용되는 데까지 연계하는 것을 목표로 제시했다.
회의에 참석한 한 관계자는 “국산 방송장비가 뒤쳐져 있다는 지적이 많지만 우리가 기술적으로 강점을 갖춘 분야는 분명히 존재한다”며 “이를 발굴해 R&D와 연계시켜 실질적 방송장비 선진화를 이뤄내는 데 집중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승규기자 seung@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