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찬모 과기특보 "과기전문가 없어 정책 효과 못 낸다"

 과학기술 전문가가 부족해 정책이 효과적으로 추진되지 못한다는 비판이 현 정부 내부에 제기됐다.

박찬모 대통령 과학기술특별보좌관(전 포스텍 총장)은 9일 서울 소공동롯데호텔에서 열린 제22차 미래인재 포럼에서 발표자로 나서 “과학기술을 향한 대통령의 의지는 강하나 행정부와 청와대에 과학기술 전문가가 적은 것이 문제”라며 “18대 국회도 지난 국회와 비교하면 이공계 출신 국회의원 수가 크게 줄었다”고 말했다. 현직 장관 가운데 이공계 출신은 이달곤 행정안전부 장관이 유일하며 이 장관도 석사와 박사는 행정·정치·정책 등을 전공, 행정학 교수로 재직해왔다는 점에서 순수 이공계로 분류하기는 어렵다. ‘새 정부의 과학기술 정책과 이공계 인재 양성 방안’을 주제로 열린 이날 포럼에서 박 특보는 새 정부가 과학기술을 홀대한다는 지적이 많다는 데 대해 “정책을 효율적으로 집행하고 추진할 전문가가 부족해 그렇게 (홀대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앞으로 점차 개선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박 특보는 또 “과학기술 기본계획 실천을 위한 구체적인 로드맵이 나와야 하고, 이공계 인력 양성 및 지원을 위한 추진 과제 실천 방안 수립이 필요하다”며 정부가 구체적인 실천 계획을 내놓을 것을 주문했다.

 이어진 토론에서 임해규 한나라당 의원은 과학기술 전문가가 부족하다는 데 동의하며 “국회 교육과학기술위원회에서도 청와대에 과학기술 수석보좌관을 신설하라는 요구를 지속적으로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임 의원은 또 “교과부를 만든 목적이 과학기술에 중점을 두고 고등교육을 육성하겠다는 것이었는데 아직까지는 부정적인 것이 사실”이라며 “처음에 의도했던 방향으로 갈 수 있게 점검하고, 개선할 수 있게 하겠다”고 덧붙였다.

 정윤 한국과학창의재단 이사장은 “세계 선진국들은 기본적으로 국가 발전의 양 축을 첨단기술 개발과 고급인재 양성에 두고 있다”며 “우리 정부가 추진하는 과학기술 기본계획, 녹색기술 연구개발 종합대책, 이공계 인재 양성 방안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각 계획을 별도로 추진할 것이 아니라 세 가지의 연계를 잘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미래인재 포럼은 산·학·연·관의 전문가들이 미래 인재개발 및 R&D 관련 이슈를 심층 논의하기 위해 교과부와 전경련,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이 공동으로 주최해왔다. 이날 포럼에 이주호 교과부 제1 차관, 김석준 과학기술정책연구원장, 오세정 서울대 천체물리학과 교수 등 40여명이 참석했다.

권건호기자 wingh1@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