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열린 ‘제4회 사이버 안전의 날’ 행사에서 전시참가업체인 어울림정보기술이 보안 시스템을 선보이고 있는 모습.](https://img.etnews.com/photonews/0904/200904140119_14051314_2069286944_l.jpg)
‘대한민국 정보보호는 우리가 책임진다.’
세계적인 해킹동향과 정보보호 정책 방향을 점검하고 정보보호 담당자들이 정보보호 강화의 의지를 다지는 ‘사이버 안전의 날’이 15일 서울교육문화회관에서 열린다.
국가사이버안전센터가 주최하는 이 행사는 지난 2005년 발생한 1·25 인터넷 대란 이후 매년 열리고 있으며 국가 사이버 안전과 공공·민간 분야의 보안 강화와 정보보호 의식 제고에 목적이 있다.
최근 중국과 미국 등 해외에서 공격이 급증하고 있어 국가 차원의 강력한 정보보호 정책이 필요하다. 지난해만 해도 중국발로 추정되는 악성코드 은닉에 대한 탐지는 8900여건에 달한다. 특히 올해부터는 악성코드 유포 집단이 바이러스 서버까지 운영하는 등 산업 조직화의 모습을 보이고 있는 상황이다. 국내에서도 개인정보 유출을 악용한 범죄가 끊이지 않고 있으며 내부정보 유출 사고 또한 빈번하다.
이번 행사에서는 각 부처에서 이를 막기 위한 대책을 발표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국정원 국가사이버안전센터는 ‘국가 차원의 사이버 위기관리 강화방안’에 대한 발표를 진행하며, 국방부는 ‘국방 사이버위협실태’와 그 대책을 발표한다. 방송통신위원회는 정보보호 이용자 보호대책을, 행정안전부는 지방자치단체 홈페이지의 안전한 운영방안을 소개한다.
각국 정보보호 정책을 비교 분석해 보는 장도 마련됐다. 미국의 경우 사이버보안을 해결해야 할 국정 최우선 과제로 두고 사이버보안처(NOC)와 사이버안보보좌관을 신설할 전망이다.
오바마정부는 2억9400만달러에서 3억5500만달러로 내년 사이버보안 부문 예산의 대폭 증액을 추진 중이기도 하다. 일본도 정보보호기본계획 추진을 통한 IT르네상스를 실현키 위해 다양한 사업을 진행 중이다.
또 이날 행사에서 공성진 한나라당 의원은 초청강연을 통해 ‘사이버 방어사령부’ 창설 필요성과 체계적인 사이버 위기관리 능력 제고를 위한 ‘사이버 위기관리법’ 제정 필요성을 강조할 예정이다.
정보보호산업 활성화를 통한 일자리 창출 방안도 논의된다. 이와 함께 정보보호학회와 정보보호산업협회가 전문 정보보호 인력 양성에 대한 방안도 제시한다.
국정원 관계자는 “이제는 사이버 전쟁 시대라고 할 만큼 사이버 보안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며 “세계적으로도 사이버보안을 국정 최고 과제로 둘 만큼 중요한 문제”라고 말했다.
문보경기자 okmun@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