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계와 정부의 의사소통을 원할하게 하기 위해 청와대에 과학기술수석보좌관을 신설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한나라당 임해규 의원은 14일 국회 교육과학기술위원회에서 열린 교육과학기술부 업무보고에서 “과학기술계의 섭섭함이 해소되지 않고 있다”며 “과기계에서 이구동성으로 하는 말이 최소한 청와대에 과기수석보좌관이라도 한명 두라는 것”이라고 말했다.
임 의원은 안병만 교과부 장관에게 “과기계와의 의사전달 체계를 제대로 하려면 과기수석을 두는게 좋겠다고 여러 곳에서 말하는 만큼 장관께서 대통령에게 분명하게 건의했으면 한다”고 주문했다.
같은 당 박영아 의원도 “지난해 정부조직 개편과정에서 교과부 장관과 청와대 수석 중 한명은 과학쪽 사람이 와야 한다고 했는데 지금은 둘다 교육출신”이라며 “청와대 교육과학문화수석은 줄여서 ‘교문수석’이라고 불릴 정도로 과학이 빠져있다”고 지적했다.
박 의원은 “최소한 청와대에 과학담당 보좌관을 둘 수 있게 장관께서 적극 건의해 주시고, 국가과학기술위원회도 상설기구화해 과학기술정책을 현실적으로 선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안 장관은 “(과학기술 수석신설에) 동감하고, (과기수석 신설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대답했다.
청와대 과기보좌관은 지난해 정부조직개편 과정에서 폐지되고, 대신 교육과학문화수석이 신설됐다. 현재는 교육과학문화수석실 산하에 과학기술비서관을 두고 있다.
권건호기자 wingh1@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