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분기 수출 감소세 지속”

2분기에도 수출 감소세가 이어질 것이라는 예측이 나왔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은 21일 올 2분기 수출을 863억달러로 전망했다. 이는 전년동기대비 24.7% 감소한 수치이나 1분기에 비해서는 15.5%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다. 반면, 수입은 전년동기 대비 37.6% 감소한 716억달러 내외로 예상돼 무역수지 흑자폭은 1분기에 비해 크게 늘어난 147억달러에 이를 것으로 내다봤다.

품목별로는 안정된 수주량을 기반으로 선박 수출이 호조세를 지속할 것으로 예측했으며 자동차·무선통신기기·디스플레이 등은 1분기에 비해 수출 감소폭이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반면, 석유제품·석유화학·컴퓨터 등의 수출은 2분기에도 큰 폭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한편, 최근 수출 감소 요인을 수입단가 및 물량 등 두 가지 요인으로 나눠보면, 최근 우리 수출의 감소는 물량보다는 수출단가 하락의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됐다. 3월까지 관세청 통관기준으로 월별 물량 및 단가 증가율 추이를 살펴보면, 지난해 11월부터 감소세가 지속됐던 물량은 3월에 증가세로 반전됐으나 단가는 작년 10월부터 6개월 연속 하락세를 기록하고 있다. 특히, 하락폭이 큰 품목은 석유제품·합성수지·컴퓨터 등이며 이들의 수출단가 하락세는 2분기에도 지속될 전망이다.

1분기의 무역수지 흑자 규모인 35억달러의 기여율을 살펴본 결과, 품목별로는 원유 및 선박이 압도적으로 높고, 지역별로는 중동 국가들과 일본의 영향이 컸던 것으로 나타났다. 선박은 수출이 확대되면서, 원유는 유가하락으로 인한 수입 감소로 인해 기여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지역별로는 중동 국가들로부터의 원유수입 감소와 엔고로 인한 대일역조 개선 등이 무역수지 개선에 기여한 것으로 평가됐다.

국제무역연구원 관계자는 “3월 수출 물량이 소폭 증가한 것은 긍정적이나 수출단가 하락이 우리 수출의 걸림돌로 작용하는 것으로 보인다”며 “이러한 상황에서 조기 수출 회복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정부와 업계가 함께 수출을 확대시킬 수 있는 기회 요인을 적극적으로 발굴하여 구체적인 전략 및 실천방안을 수립하고 시행해나가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고 말했다.

서동규기자 dkseo@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