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분기 실질 GDP 전기 대비 0.1% 성장 의미

1분기 경제성장률이 예상대로 최악을 기록한 가운데 관심은 2분기 성장률로 전이되고 있다. 2분기 성장률에 따라 경기가 바닥을 치고 오를지 점쳐볼 수 있기 때문이다.

 한국은행이 24일 발표한 ‘2009년 1분기 실질 국내 총생산(GDP)’에 따르면 실질 GDP는 작년 같은 기간보다 4.3% 감소해 지난해 4분기(-3.4%)에 이어 ‘역성장’을 했다. 전년 동기 대비 성장률로는 1998년 4분기(-6.0%) 이후 최악이다.

 전기 대비 성장률은 0.1%로, 작년 4분기의 큰 폭 마이너스(-5.1%)에서 플러스로 돌아섰다. 이러한 성장률은 한은이 예상했던 1분기 성장률(전기 대비 0.2%, 작년 동기 대비 -4.2%) 보다는 0.1%포인트씩 각각 낮아진 수치다.

 1분기 수치가 발표되면서 관심은 2분기로 집중되고 있다.

 한국은행의 2분기 예상 성장률은 -4.1%로 1분기에 비해서는 둔화폭이 완화될 전망이다. 이에반해 올해 우리나라 성장률을 -4%로 예상한 국제통화기구(IMF)는 2분기 예상 성장률을 -5.9%로 올 분기 성장률로는 최악을 보일 것으로 전망했다. 2분기가 바닥이 될 것이라는 예상이다.

 만약 전문가들이 예상한대로 올해 성장률이 상반기에는 낮고 하반기에는 높은 ‘상저하고’라면 2분기가 턴어라운드 시점이 될 가능성이 높다.

 2분기 성장률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신호도 포착된다. 1분기 성장률에서 제조업은 일반 기계 및 운수 장비가 크게 부진했지만, 반도체와 영상음향 통신 등 전기전자가 증가해 작년 4분기보다 3.2% 감소하는데 머물렀다. 작년 4분기의 전기비 성장률인 -11.9%에 비해서는 상대적으로 개선된 것이다.

 건설업의 전기대비 성장률은 작년 4분기에 -4.2%를 나타냈으나 올해 1분기에는 6.1% 증가로 반전됐다. 서비스업도 도소매 및 음식숙박업, 금융보험업 등이 늘어나 전기 대비 0.3% 증가했다.

 권상희기자 shkwon@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