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권 빚이 많은 45개 그룹과 38개 중대형 해운업체에 대한 본격적인 구조조정이 이달부터 시작된다.
정부는 30일 오전 이명박 대통령 주재로 비상경제대책회의를 열어 기업 구조조정 추진 계획을 마련했다.
이에 따르면 채권단은 금융권 신용공여액 500억원 이상인 대기업에 대해 작년 말 기준 재무제표를 기준으로 6월 말까지 신용위험 평가를 한다.
채권단은 현재 1422개 대기업에 대한 기본평가를 하고 있으며 이중 311개가 금융권 총 신용공여액의 0.1% 이상을 차지하는 45개 그룹의 계열사다. 채권단은 45개 그룹에 대한 재무구조 평가에서 14곳에 불합격 판정을 내린데 이어 5월말까지 11곳과 재무구조 개선 약정을 맺고 구조조정에 나서기로 했다. 불합격됐더라도 업종 특성이나 고환율로 부채비율이 높은 3곳은 약정 체결 대상에서 제외됐다.
정부와 금융당국은 부실 책임이 있는 기업의 경영진이 기업회생절차를 신청한 뒤 관리인으로 선정돼 경영권을 유지하지 못하도록 채권단이 법원에 적극적으로 의견을 내도록 지도하기로 했다.
이명박 대통령은 “구조조정은 옥석을 잘 가려줘야 건실한 기업들도 살아남을 수 있다”며 “정치성이 철저히 배제된 공정하고 투명한 절차 아래 구조조정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신속하면서도 투명한 절차를 갖춘 구조조정을 요구했다.
이 대통령은 “아직 글로벌 경제위기가 진행되고 있는데 최근 경제지표가 다소 개선되고 외국 금융기관들이 긍정 평가를 하고 있다는 이유로 조금 버티면 구조조정을 피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기업들이 있다”고 일부 낙관론을 경계했다.
이 대통령은 이어 “옥석을 가려서 구조조정을 할 기업들이 빨리 구조조정이 돼야 건실한 기업들이 살아날 수 있다”며 “소극적이고 단기적인 판단을 하지 말고 정부의 구조조정 책임자들이 몸을 던지는 희생정신과 역사적 인식을 가지고 오직 결과로 평가받겠다는 자세로 일해 달라“고 당부했다.
특히 금융기관에 대해 “지금 정부가 하는 일은 그동안 금융기관이 저지른 일을 뒷바라지 하는 것”이라며 “최고의 대우를 받으면서 소극적이거나 책임지지 않으려는 자세를 보여줘서는 안 된다”고 질타했다.
유형준기자 hjyoo@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