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이준서 기자=정부가 신성장동력 산업을 육성하는 과정에서 전문인력이 크게 부족할 수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정부는 2018년까지 17개 차세대 산업을 통해 352만 개의 일자리를 만들겠다는 비전을 제시한 바 있다.
현대경제연구원은 13일 ‘신성장산업 인력 수급의 애로와 시사점’이라는 보고서에서 “352만 명의 신규 일자리를 창출한다는 것을 뒤집으면 그 만큼의 인력이 공급돼야 한다는 것”이라며 “현재의 인력 공급 현황을 감안할 때 적시에 인적 수요를 맞추기 어려울 것”이라고 밝혔다.
연구원은 전체 취업자 중 전문가 비중이 지난해 18.6%인 것을 기준으로 향후 신성장 동력산업에서 총 65만5천 명, 연간 6만6천 명의 전문인력이 각각 필요할 것으로 내다봤다.
연구원은 “이는 전체 산업의 평균 전문가 비중을 기준으로 추정한 것으로, 신성장동력 산업이 기술 수준이 높은 하이테크 업종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실제로 더 많은 전문인력이 필요할 것”이라며 “학력별, 계열별로도 수급 불일치가 예상된다”고 주장했다.
연구원은 교육과학기술부의 자료를 인용, 2005~ 2014년 중 자연계열 박사급 인력 공급은 5만1천 명으로 수요(5만5천 명)에 못 미칠 것이라고 전했다. 우리나라 대학진학률은 지난해 83.8%(전문대, 방송통신대 포함)로 세계 최고 수준이지만, 스위스 국제경영개발연구원(IMD)이 평가하는 교육경쟁력은 주요 55개국 중 35위에 그치고 있어 인적자원의 질적 경쟁력도 높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연구원은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에 근거해 수급 불일치가 예상되는 계열별, 학력별 정원을 단계적으로 조정해야 한다”며 “산업계가 요구하는 인력과 대학 교육 간 괴리가 없도록 산학 연계를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바이오, 환경, 에너지 등 유망 업종의 전문인력을 체계적으로 육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jun@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