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시티 수익모델 개발은 풀어야 할 과제다. u시티를 구축하면 시설유지비를 포함한 운영비가 매년 수십억원씩 발생, 지방자치단체의 재정 부담이 이만저만이 아니기 때문이다.
최근 u에코시티사업단이 개최한 ‘u시티 수익모델 세미나’에는 이 같은 문제 해결을 위한 다양한 수익모델이 제안됐다.
현재 u시티 수익모델로 유력하게 검토되고 있는 아이디어는 우선 u시티 보유정보를 다각도로 활용하는 방안이다. u시티 구축으로 확보되는 공간정보, 교통정보, 환경정보, 행정정보를 민간사업자에 제공해 수익을 창출하자는 것이다. 예를 들면 도시를 무대로 한 체감형 온라인게임을 개발하려는 게임업체에 공간정보를 판매하는 식이다. 보험업체에 공간정보와 사고정보, 범죄정보, 교통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u시티 보유시설을 활용한 수익모델도 긍정적이다. 자가통신망, 통합운영센터, 지능화시설을 민간사업자에 임대해 사업자들이 이를 이용해 부가수익을 창출하는 방식이다. 유휴 자가망 용량을 기간통신사업자에 제공하든지, 미디어보드·키오스크를 게임·뮤직·영상 등 콘텐츠 유통채널로도 활용할 수 있다.
에너지 절감 서비스도 주요 수익창출 모델이다. 통합센터에서 u시티 내 건물 에너지 사용량을 모니터링하고 원격제어해 에너지를 절감하면 절감액을 시설주와 배분할 수 있다. 최근에는 u시티 내 에너지 절감량을 탄소배출 절감액으로 환산해 탄소배출권을 판매할 수 있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김일겸 베타리서치앤컨설팅 부사장은 “여러 가지 수익모델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결국 이를 추진할 민관 협력 법인이 필요하다”며 “지자체, 사업자, 벤처펀드 등이 공동으로 투자하고 지자체는 수익을 u시티 운영비로 조달하면 이상적인 모델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장지영기자 jyajang@etnews.co.kr